사문황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98140
절대적 빈곤이 최저 생계비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거여도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를 고려 안한다고 보는 건가요? 최저 생계비도 각각 나라마다 달라서 고려하는거 아닌가 싶어서요 무조건 저 워딩은 상빈으로 생각하면 될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감 6-5 저번주 월->이번주 월->수->금으로 미루고 오후10신데 지금 하나...
-
쌈무나보고가라 4
-
강k 29회 후기 10
88점 15 28 30틀 솔직히 무난무난 개무난 시험이어서 15 21 22 28...
-
작수 확통 92베이스 미적분을 이번주부터 할 계획입니다 시대인재 김현우T 단과...
-
아.. 4
문제 잘 못 읽어서 틀린거만 3개.. 시간 없어서 못 푼거는 5개 수능 남은 날짜 20일 하..
-
오늘은 또 무슨 내용으로 글을 쓰지… 하루만 기다리면 템플릿… 불러오기. ………...
-
님들은 말이 된다고 생각함? 언어라는 과목은 지식이 축적되는게 아닌거임? 현역때보다...
-
무조건 거르는 건 아닐지라도 일단 100% 경계대상이긴 함 약간 사회생활때문에...
-
지방대 갈수 있을까요
-
왜 녹음실부터 생각나죠?
-
ㄱ 왜 틀린걸까요? 테일러가 하는 말이잖아요. 싱어는 쾌고감수능력이 있어야하고...
절빈선은 나라마다 상이할 수 있지만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와는 무관해요 무조건 상빈이구나 하시면 됨
1) 사회문화 교학사 교과서 152p (절대적 빈곤)
구체적으로는 '사회의 소득 분포와 관계없이' 최저라고 생각되는 절대적 빈곤선을 정하고 경제력이 이 수준에 미달하면 빈곤으로 정의한다.
2) 23학년도 수능 9번 2번 선지
절대적 빈곤은 사회 구성원의 소득 분포 상태를 고려하지 않는 개념이라는 평가를 받는다(O).
이 정도 선에서는 진리라고 생각하는 게 편합니다.
옯 비슷한 질문 게시물 댓글에서 긁어왔어요
사실 딥하게 들어가면 아예 고려하지 않는다고 단정짓기는 어려워서
절빈은 소득 분포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런 식으로 보수적인 선지를 주지 싶어요
문제에 어떻게 나와있는지에 따라 다른데
절대빈곤선이 나라마다 시기마다 다른 것은 물가도 상황도 항상 고려해서 그 선을 설정하기 때문이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