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언어학 이야기 (혼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88455
여러분 원래 '넓다', '젊다', '읊다'에는 모두 ㄹ이 없던 거 알고 계시나요?
'넓다'의 옛말은 '넙다', '젊다'의 옛말은 '졈다', '읊다'의 옛말은 '잎다'입니다. 음...? 그럼 ㄹ이 어떻게 첨가됐을까요? 한국어에서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넘어갈 때 자음군이 새로 생기는 음운규칙이라도 있었던 걸까요? 그러한 현상이 없었을뿐더러 애초에 그러한 현상이 일어날 음성적 동기도 없습니다. 그러니 음성적인 영향이 아니라 다른 영향으로 단어가 바뀐 겁니다.
이때 '혼효(blending)'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비슷한 유형의 단어들, 그러니까 의미적으로 유관하고 유의 혹은 반의의 계열 관계를 이룰 때 서로의 단어 형태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넙다'와 '너르다'가 혼효되어 '넓다'가,
'졈다'와 '늙다'가 혼효되어 '젊다'가,
'잎다'와 '닑다(>읽다)'가 혼효되어 '읊다'가
된 것이죠. 실제로 이렇게 ㄹ이 들어간 예시는 근대국어에야 등장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와.. 매일하면 살 빠지려나
-
미적 11(마지막에 적분 계산 실수….) 14 15 22 28 29 30 72점...
-
도가도 평등세계관을 가지기 때문에 묵자처럼 차별없는 사랑을 지향한다고 말할 수 있나요???
-
ㅇㅇ
-
이투스 모의고사 0
학교에서 종로 모고 신청해서 한번 봤었는데 개별로인 기억이 남아서 이투스는...
-
진 개빠진다 0
.
-
한시간만에 52억 14
-
오늘부로 모든 sns끊을수있을거같은느낌
-
근본독해력이 1순위인건 맞음 근데 배경지식이 그렇다고 배제대상은 아님 애초에 내가...
-
지금 카페인 800미리 먹었구나
-
솔직고백) 4
어제영어서바3등급나옴 올해최초3등급이라진짜울고싶었음...
-
내 눈까리와의 전쟁임... 으흐흐
-
일본의 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이런 말을 했었다. "세상에 더 나은...
Reference가 어떻게 되나요
참고 문헌 말씀하시는 거려나요.
중세 국어의 선어말어미 ‘--’의 발달에 대하여, 고광모(2013)에서 논의하고 있습니다.
박사학위논문이긴 하지만
"한국어의 혼효, 잉여표현, 전염 현상 연구"도 있습니다. 중세국어 말고도 여러 예시가 제시되어 있으니 시간 나면 한번 읽어보셔도 좋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