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개념 상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73307
어제 적생모 풀다가 선지에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간의 신뢰도’ 가 나왔는데 제가 알고있던 개념은 신뢰도는 문현 연구법 제외 모든 자료수집 방법에 해당하는 것 (윤성훈쌤 커리탐)으로 알고 있어서 윤성훈 쌤이랑 최적쌤 qna에 둘다 올려봤는데 역시 윤성훈쌤 연구소 답변은 제가 알고있는 것과 동일했고
최적쌤 연구소 답변은 신뢰감 형성은 질적연구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하네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는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두드러기도 자주 올라오고..
-
아시는 분!!
-
97점 강대에서 추정컷 86점인데 체감상 이것보단 높지 않을까… 비문학은 전반적으로...
-
이제 뭘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
먼가 독서는 0
이 필자의 의도를 파악해야 ~~를 이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이런 문제를...
-
특기자 전형 확대랑 논술 개편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함 흔히 말하는...
-
옯모닝 1
오늘도 알찬하루를 보냐자구요
-
.
-
자도자도 졸리고 몸이 겁나 무겁네
-
글루콤 만든 회사에서 나온 집중력 영양제 있던데(외형은 똑같은데 성분만 다른)...
-
6시 기상을 3일 연속으로 했더니 졸려요.
-
치위생학과 시설이 좋다고 하는데 어떤 부분들이 좋나요??
-
다들 5회분 전체적으로 어떤가요? 저는 거의 다 30분 내에 못 풀겠던데 다른...
-
적어도 개념은 좀 읽고와라 축구교실와서 걸음마부터 알려달라하는 진상들 왜케많냐
-
개힘들겠다
-
현역입니다.화작 19년도까지 1회독밖에 못돌렸는데 n제말고 기출하는게 낫나요?
-
뭐가 되고 싶은걸까 잘 모르겠다 그냥 가라앉는중인가?
신뢰도의 대표 = 질적연구
신뢰도가 요구됨 = 질 앤 양 아님?
잘 모름 ㅇㅇ
안 나오니 걍 넘기세요
신뢰도는 양/질 상관없이 당연히 중요한거고 ‘정서적 교감’ 이라는 키워드는 질적연구에서 중요시 된다고 배웠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