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역할이랑 역할행동 너무 헷갈리는데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64187
일단 역할에 대한 보상은 없다는건 알음
개념적으로 역할은 한 사람에게 기대되는 행동양식
역할행동은 역할 가지고 하는 실제 행동이자 한 사람의 평가 기준
그럼 학교 이사장이 교장 임명하면서 학교를 잘 관리하라고 조언하는건 이사장이 교장에게 기대하는 역할인가요?
아직 실제로 한건 아니니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언매 2컷 0
예상 ㄱㄱ
-
수2 질문 8
진짜 너무 빠가 같은 질문인데.ㅜㅜ 부끄럽더라도 해결은 해야 될것같아서.....
-
2주정도남으면 그럴려고 하는데
-
ㅇㅇㅇ
-
3점 다 쳐내는데 12분 걸릴거부터 개쎄햇는데 9번부터 안 풀려서...
-
?
-
ㅈㄱㄴ입니다요 10모딸 쳐도 되는지..
-
채점 서비스 있다는데 어디서 하는거지
-
보정 몇뜰까요?
-
다들 맛저! 5
편의점 샌드위치 존맛
-
ㅠ
-
전쟁 중에도 자기 사리사욕 챙기려는 미친 인간들이 있구나....ㅎㅎ 반면교사로 삼아야 합니다.
-
화작 88까진 무조건갈거같은데 어디까지 내려갈지모르겠네
-
14 21 같은 평소에 고난도랑은 거리가 먼 문제들이 어렵게 시험에 나왔을때 어떻게...
-
ㅈㄱㄴ 화1 개노잼
-
속마음 타로 볼수있다길래.. 봤는데 하나도 안맞네요.. 네이버에서 타로 사이트...
-
일단 윤성훈t 풀커리에 하반기에 본 모고 모두 1등급, 적중예감 파이널 풀면...
조언은 이사장의 역할 행동이죠
밑줄이 어디까지 그어졌는지가 중요하죠
조언하는건 -> 이사장의 역할 행동
학교 관리를 잘하는 것 -> 교장의 역할
후자를 역할행동이라 볼수는 없나요?
관리를 잘하는것으로 교장의 평가를 할수있는거 아닌가요
아직 수행했는지를 모르잖아요 실제 수행했다는 것에 밑줄그으면 그것이 교장의 역할행동이 되겠져
역할을 평가할수있냐 아니냐로 역할행동임을 판단하기보다 “어떤 역할로서 행동한 것”이 “어떤 역할에 대한 역할행동”임에 주의하면 훨씬 명확할 것 같네요 물론 역할행동을 통해 그 역할을 잘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겠지만요
그럼 역할행동은 무조건 행동한 증거가 있어야한다는거 맞죠?
네 근데 행동한 것이 그 역할에 대한 행동이어야 하는것에 주의해야해요 예를 들어 학생이 물마시는 것
-> 인간의 행동이지만 학생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행동이 아니므로 학생으로서의 역할행동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