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수능 문학 풀이는 이게 최고라고 봐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62318
작수 언매 90점따리지만 ㅜㅜ 그냥 제생각이에여
바로그냥
“ 지문에서 껀덕지 찾기 ” <- 무조건 이걸로 풀어야 함 무조건임
문학은 99% 확률로
자기의 주관/고정관념/통념을 도입하게 되기 때문에 틀리는거임
예시로
2211
현대시 수필 세트
22. 1번) (가)에서는 ‘묵화’와 ‘박쥐 나래’의 이미지를 연결하여 고향의 어두운 분위기를~
실제로 지문으로 돌아가면 ‘황혼이 묻혀 오면‘ ’호롱불이 켜지고‘ 실제로 어두워지고 잇음
근데 학생들의 생각: “고향이.. 어둡다고? 마음의 안식처인 고향이? 고향이 어두울 수 없지!” <- 고정관념
으로 1번을 많이들 못 찍었고
(+ 어둡다: 실제로 밝기가 낮아짐 or 관용적 표현의 ’어두운 분위기‘ 두 의미로 사용됨. 이 경우 전자인데 후자로 착각)
전설의 문제
23. 4번) 귀한 대우를 받는 삶을 그러한 속성을 가진 ’부호가의 깊은 장막 안‘으로 나타냄으로써, 인간과 가까운 공간의 적막한 분위기를 환기하는군.
지문으로 가면 ’적막함‘과 관련된 구절이나 단어는 아예 단 한개도 없음
그럼에도 학생들의 생각: “깊은 장막 안.. 깊고 혼자인 듯.. 적막한 느낌이 든다..” <- 통념, 자기의 주관 개입
해서 정답률이 무척 낮음
2409
고전시가 세트
34번. (나)의 ‘생매’는 고고한 취향을 사실적으로 보여 주는 소재이군.
이 문제는 심지어 (가) - 고고한 취향을 짝지어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생각: “생매 ㅈㄴ고고해 보여” <- 자기의 주관 개입
으로 틀렸져
결국 평가원은 이견 없이 오류 없이 문제를 만들어야 하고 같은 작품에 있어서도 개인마다 해석이 다 다르므로 결국 정오의 근거는 지문이 될 수밖에 없음
당연한 소리긴 한데... 뭐 주제만으로 풀린다, 지문 안돌아가도 된다, 말들 많잖아여?
근데 그런것들은 곧 더 빨리 풀기위한 방법론 중에 하나일 뿐이지 본질적으로 안틀리게 풀기는 어렵다고 생각함
안 틀리려면 결국 지문으로 돌아가서 표시된 시구/시어/구절 앞뒤로 시야를 넓게 가지고 그 선지를 맞다고 허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껀덕지’를 찾아야 함
그리고 이걸 빨리 푸는 것과 함께 가져가려면
결국 ‘지문을 빨리 읽는다’가 전제가 되어야 함 높은 독해력, 글 읽는 연습 많이ㅇㅇ
+ 8기였어서 김재훈T 수업 들었는데 선생님께서 하시는 얘기가 정말 문학의 본질에 제일 가깝긴 하지만 행동강령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되게 위험하다고.. 봐여...
정말 완벽하게 체화하면 도움이 될수도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위험함
선지 분절해서 판단하지 마라, 지문 돌아가지 마라, 어쭙잖게 따라하면 무조건 와르르 틀림
특히나 <보기> 문제는 전술 후술 분절해서 전술 맞는지, 후술 맞는지, 전술-> 후술 연결 맞는지 세세하게 따져 보아야 함
시 읽을때 가볍게 읽으면서 주제 잡기/수필 전환점 잡기/고전소설 인물관계도 잡기 이런건 물론 완전 도움되고 그렇게 풀어야 힘
지금은 윤지환T 듣구있는데 문학풀이 매우 도움됨 ㅎㅎ
제 생각을 그냥 한번 써봣어여
올해 백분위 100 뜨면 좋겟당 ㅎ
0 XDK (+1,000)
-
1,000
-
영어 독해할 때 형용사구 전치사 같은 거 헷갈리는데 9
Mediation is a process that has much in common...
-
강사들도 그렇고 아마 미적분은 현재 수능 선택과목 체제에서 24수능 정도가...
-
정시파이턴데 물1 공부하던데 말려야되나 이거..
-
근데 26수능 대비 인강 12월부터 나오나? 올해는 파이널 인강만 듣고... 경험...
-
보이는가 우리의 모습
-
우리학교 과잠 보이길래 굳이 교회에..? 싶긴했는데 너무 예민한건가
-
너무떨린다 진심 3
요즘 공부도 안되는데 부족한곳은 계속 보이고 놀고싶고 시간은 없고 주변에선...
-
메디컬이 목표라도…?? ㅠㅠ
-
별자리
-
작년 일동장유가처럼 전문 읽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작품 있나요?
-
대충 지금 예상이 의미없긴 하지만 언매 확통 영어 세지 사문 97 93 3 96...
-
체력 쓰레기됬네
-
남은 시간동안 어떻게 하면 가능할까요? 공통 킬러 빼고 맞고 미적 쉬운4점 맞는게...
-
답지 입력할때 1번~5번 답이 55455 이따구 나오고 뒤에도 답 연속된거 많길래...
-
난 수능수학99가 간절하다 '내놔'
-
이해하고 문제를 푸는건지 그냥 머릿속에 집어넣고 서치하면서 비비는건지 잘 모르겠음....
생매 ㅈㄴ고고해 보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히려 저는 현장에서 풀었을때 엥?ㅈㄴ하찮아보이는데 하면서 골랐음ㅋㅋㅋ
“깊은 장막 안.. 깊고 혼자인 듯.. 적막한 느낌이 든다..” <- 통념, 자기의 주관 개입
이게 제가 계속 강조했던 낚시 코드입니다. 제 예전 칼럼에 정확하게 그대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명칭이야 어떻게 부르든 상관없는데 사고 과정을 뭉개고 가는 부분을 묻는 건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때까지 그걸 글로 썼었던 것이고..
매우 동의합니다. 문학은 감상의 영역이지만 시험의 영역으로 끌고 내려온 순간 "객관적인" 근거가 반드시 필요해지고, 이 부분을 파고드는 것이 수능 시험을 잘 치르는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결국 "문제"를 잘 맞춰야 하는 거니까요.
문학은 감상의 영역이라고들 하지만 적어도 수능에서는 객관적인 텍스트로 이해.... 좋은 칼럼이네요
이 글 공감하는 게 선지 분석 아예 안 하고 지문만 똑바로 분석해도 선지가 자동으로 제거되면서 답이 빠르게 나오는 게 신기했어요
고수시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