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화 현상에 대한 기능론 갈등론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20882
직업 유헝간 사회적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는 이론이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의대증원하면 5
의사들 수익이 감소하는게 팩트인가요?
-
https://orbi.kr/00069476214/%EC%96%B8%EC%A0%A0%...
-
컴공 일기250 7
문제들을 풀다 보다, 나도 모르게 패드의 한판이 다 채워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재밌는 문제 풀어보셈요(10.17)(30000덕) 24
생각보다 덕코가 많아져서 시원하게 한 번 가겠습니다 제가 아껴두었던 조합문제입니다 난이도 : 4/5
-
'사내이사 유지·대표는 불가' 기조 따른 듯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다음...
-
진짜미친놈마냥잘하는데
-
하도외로워서그런가
-
번외)서강경vs성글경 13
두 학과 동급이란 건 알아요 선호하는 학교학과 골라주시고 학교학과 이름 or 취향...
-
비교했을때 자전축경사각만 크면 무조건 북반구 남반구 둘다 기온의 연교차가 큰거라고...
-
ㄹㅇㅋㅋ
-
자 드셔보세요 7
-
나만그럼?
-
1-3. 독서론 4-7. 경제, 오버 슈팅 8-11. 기술, 어라운드 뷰...
사회적 공헌도에 따른 자원의 차등 분배를 옹호하는게 기능론
기능론은 직업 중요도 차이를 인정하고, 차등배분해야한다고 생각하죠
따라서 직업의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지적을 받는것도 기능론..
그렇다면 갈등론은 직업ㅇ
중요도 차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나요?
갈등론은 직업의 중요도 차이를 인정하지 않죠
애초에 갈등론을 통해 변별하려는 질문이 아니였군요
기능론에서만 질문이 가능한 문제였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