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기 국어 기출, 어떻게 활용할까? (기출 선별본 배포 안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519294
국어는 마지막까지 기출을 놓지 말라는 말을 여기저기서 들어보셨죠.
그런데 이 시기에는 기출을 하도 많이 봐서 질리기도 하고,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에 대해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FINAL 기출 분석 방법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국어 FINAL 기출 공부법 ]
1. 주요 기출을 선별한다.
파이널 시기의 국어 공부는 크게 2 TRACK으로 진행됩니다.
첫째는 '기출' 위주의 '태도 정립' 학습이고,
둘째는 '비기출' 위주의 '양치기' 학습이죠.
이를 헷갈려서 평가원 기출로 양치기를 하시고, 비기출로 분석을 하시면 안돼요.
평가원 기출은 '다양한 걸 많이 푼다'는 관점보다는
'중요한 걸 깊게 분석한다'는 관점이 중요할 겁니다.
사실 이 시기 즈음이면 기출은 답도 다 기억나고,
그냥 단순히 많이 풀거라면
낯선 비기출로 실전력을 기르는 게 낫거든요.
평가원 기출 분석은 시간이 꽤 많이 걸리는 작업이기에, 선별이 꽤나 중요합니다.
일단 최우선 기출은 다음과 같아요.
ㄱ. 올해 '6월 모의고사'
ㄴ. 올해 '9월 모의고사'
ㄷ. 작년 '수능'
이 세 녀석은 토나올 때까지 본다는 마인드로 보셔야 합니다.
그냥 프린트해놓고 심심하면 쳐다볼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추가로, 이 3가지 시험지 말고도 분석해야 할 것들이 2가지 더 있습니다.
ㄹ. 처음 풀 때 어려움을 겪었던 지문
당연히 한 번이라도 어려움을 겪었던 기출 지문은
완벽히 극복한 상태로 시험장에 들어가셔야 합니다.
결국 평가원이 학생들에게 어려움을 주는 패턴은 매해 반복되기에,
이전에 기출에서 겪었던 어려움은 올해 수능 시험장에서도
우리를 괴롭힐 거예요.
기출을 토대로 이 어려움에 대처하는 방법 및 피지컬을
재확립합시다.
ㅁ. 올해 6/9월 문제와 출제 point가 유사한 지문
국어는 6/9월 모의고사가 사실상의 수능 유출본이라 보셔도 될 정도로
모의고사에서 쓰인 포인트가 수능과 연계되는 지점들이 많습니다.
6/9 모의고사를 깊게 분석하는 건 당연지사이고,
출제 point가 유사한, 다른 기출 지문까지 분석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네? 내가 그런 걸 어떻게 찾아요?
그냥 너가 선별해주시면 안돼요?
본인 기준에서 선별하는 것이 가장 좋긴 하지만,
이 과정이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선별해서 배포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게시글 맨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 선별된 기출을 '실전' 관점에서 분석한다.
기출을 분석할 때 가장 중요한 질문은
'만약 이 문장을 실전에서 처음 봤을 때 어떤 생각을 하는 게 좋았을까?'
입니다.
즉, 사실은 어떻게 지문이 쓰였는지, 문제가 어떻게 나올지도 다 아는 상태이지만
그걸 모른다는 전제로,
해당 문장을 봤을 때 어떤 생각을 하는 게 좋았을지 생각해보는 겁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문장을 실전에서 처음 마주했을 때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생각이 뭐였을지 생각해보는 거예요.
들 수 있는 생각은 여러가지가 있겠죠.
그러나 저는 딱 이 문장을 '처음' 읽고 할 수 있는 생각은 다음과 같다고 봅니다.
물론, 우리는 이 기출을 하도 많이 봐서 '정립', '반정립', '종합'의 의미를 잘 알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처음 마주했을 때는 그렇지 못했을 거예요.
그러니 '모르는 상태'를 가정하셔야 합니다.
그 상태에서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지를 하나씩 점검해보는 거예요.
다음 문장도 봅시다.
마찬가지로실전의 관점에서, 어떤 생각을 전개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보세요.
저라면, 이 문장에서 꽤나 오래 멈춰 있을 겁니다.
일단, 사용된 어휘들도 꽤나 추상적이고, 문장의 길이도 길고,
무엇보다 위에서 궁금증을 가지고 있던 '변증법'의 정체에 대해 설명해주는 문장이니까요.
그래서 천천히 다음의 생각들을 전개할 것입니다.
선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해당 선지를
실전에서 처음 마주했을 때 들어야 하는 생각들을 고민해보는 거죠.
물론 위 처럼 여러분은 사고를 자세하게 기술할 필요가 없습니다.
쓰면 더 좋긴 하지만, 중요한 건 '사고의 깊이'니까요.
천천히 생각을 전개하면서 분석해보세요.
3. 자신에게 맞는 해설지/해설강의를 참고하여 사고를 교정한다.
혼자 분석할 때 가장 어려운 지점은
지금 이 생각을 하는 게 맞을까? 어떤 생각을 해야 할까?
라는 질문을 해결하기 힘들다는 거죠.
국어가 기본적으로 독학의 과목이기는 합니다만,
그럼에도 사고를 교정해줄 수 있는 코치 역할은 필요하다고 봐요.
그래야 학습의 방향이 올곧게 나아갈 수 있을 테니까요.
그래서 우리는 해설지나 해설강의를 활용합니다.
해설지나 해설강의에서 제시하는 생각들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해가면서
조금씩 교정해나가다보면, 훨씬 더 '적합한 생각'들을 할 수 있게 되거든요.
헬스장에서도 PT쌤이 옆에서 교정해주면
훨씬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몸을 키울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지요.
중요한 건, 자신에게 잘 맞는 강사나 해설지를 활용해야 한다는 건데요.
자신과 잘 맞지 않은 강사나 해설을 활용하면
사고가 교정되기는커녕 혼란만 가중될 수 있거든요.
그러니
지금까지 경험을 토대로
가장 잘 맞았던 강사나 해설지를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갑자기 이 시기에 인강 소믈리에가 되진 마시구요.
'지금까지의' 경험을 토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만약 편하게 누가
주요 기출을 선별해주기를 바란다면,
분석서(해설서)까지 제공해주기를 바란다면,
제 계정을 팔로우 해두세요.
다음주 목요일 즈음에
주요 문학 기출 12세트 + 독서 기출 12세트
선별본 및 분석서를 무료 배포하겠습니다.
현강에서 학생들이 꽤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는 수업 자료니까
참고해보시면 꼭 도움이 될 거예요.
-> 아래 링크에 자료 업로드해두었습니다!
----------------
현강에서 항상 이야기하는 내용이지만,
이 시기는 공부도 공부지만, 컨디션&생활 루틴 관리가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잘 먹고, 잘 자야 해요. 멘탈도 너무 몰아붙이지 마시되,
하나씩 차근차근 해결해나가다 보면 분명 뿌듯한 날들을 보내실 수 있을 거예요.
파이팅입니다!! :)
좋아요는 사랑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토리에 이미지 써준다고 했다가 벼락치기 중 이거때매 밥 못 먹고 야근하는 느낌 ㅠ
-
작년에 뉴런 수 1.2 완강은 했는데 개인사정 때문에 중간에 공부를 아예 못하게...
-
저렇게 꾸준한 것도 대단한데 그냥 칭찬해주면서 오르비 무형문화제로 만들자
-
머리론 알겟는데 가슴으론 안돼
-
가만히 있었음 뭐라는지도 모르겠는데 어떻게 까;;
-
현역때 진짜 열심히 하고 재수시작부터는 수특 한번 푼게 다인데도 더프,3모 50점...
-
오늘 하루 종일 기분 좋았던 개집팬은 개추 ㅋㅋㅋㅋ 3
진짜 일어나서 보통 15분까진 더 뒹굴뒹굴 해야 하는데 스코어 보고 잠 확 깸
-
댓글로 욕을 존나 처먹고 그 커뮤에서 활동을 접었고 그 다음 타깃이 작년의 오르비와...
-
아까 아침에 0.9999~=1인 이유 증명하는 입실론 델타 논법 찾아보고왔는데 관련...
-
국어 오답 4
국어 오답 생기면 다음 날에 한 번 더 풀어보고 또 틀리면 해설 보고 분석하는데...
-
쉬는날 쳐먹는다
-
마더텅 풀고 잇는데 n회독 할 때 보통 틀린 문제들만 n회독 하나요 아님 진짜...
-
문제 푸는건 좋은데 인강 듣기가 싫으면 어떡함? 시발점 들으려고 하다가 집중 안돼서...
-
이것도 쿠쿠리네 3
딱봐도 ㅋㅋ 여기선 반응 안해주니까 오르비 오는거네
-
평가원 몇등급 실력일까요….
-
나같은 스타일 있음? 개념이나 기출 1회독은 느린데 8
그 1회독만 끝나면 2,3회독부터는 남들보다 공부 실력,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음 지수함수마냥
-
그냥 물흘러가는듯이 흘러가는거 아녔어?
-
저양반 개소리하는게 하루이틀임?
-
원래 관심받는거 되게 좋아하셨었는데 뿌듯해하실듯
-
메타 이거 쿠쿠리가 개소리한거에 어그로 끌려서 형성된거 맞죠 그럴거같은데
-
확신을 가지고 골랐는데 틀리셨음 아니면 아리까리했는데 틀리셨음?
-
limx->무한 실수를 실수가 아닌 수로 보내는 게 됨? 그러면 실수를 복소수로 보내는건 왜안됨뇨
-
역시 고연포다 2
ㄹㅇ
-
자신을 제외한 모든 수학자들을 병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임
-
굽이 굽이 굽이 15
골목길에
-
지난 시간에 제가 생명과학2를 처음 학습하는 분들을 위한 글들을 썼는데 이번에는...
-
이거 캐릭터 말이에요 더 입체적으로 귀엽게 만들어주면 안 됨요? 오리비 이모티콘처럼
-
잔인한 얘기)1학년 내신이 성에 안차도 내신하는게 맞다 0
1. 1학년을 놀면 안됐으며 2. 고등학교 중요하다고 한참을 설파받는 그 1학년을...
-
작수 공통 3틀 미적 3틀 올해 3모 공통 2틀 미적 3틀인데 확통런 메리트가...
-
당황스럽내..
-
젖지마렵네
-
나 뭐 잘못했나? 근데 어차피 폰 안받아서 전화도 못받는데
-
클럽가드특 0
자기가 입밴하지만 자기도 클럽가면 입뺀할 외모
-
ㅇㅇ? 기억이 질 안 나네
-
파본검사할때 대충 훑다가 조건에 “정수k”랑 ”존나 근본없어 보이는 부등식“ 달랑...
-
걍 0.9999••• = x 라고 두면 10x = 9.9999•••• 10x = x...
-
고2 정시 고민 0
안양시의 한 남고에 다니고 있는 2학년 학생입니다. 지금 성적이 내신은 1학년...
-
아일릿 민주같은 느낌이라고 해야되나 약간 싸한 분위기 잇슴 살면서 지인으로는 3명...
-
우정원 : 건물에 균열 생김 무악학사 : 층이 높아질수록 벌레들의 날개가 커지고,...
-
추억의 스페셜솔저
-
선택한 이유도 같이 부탁드립니다^_^
-
엄마가 내가 먹은 건 미국산 소고기였고 한우는 통에 따로 담겨있었다는데…
-
안전결제란 명목으로 수수료 띄갈려고 좆같이 시스템을 바꿔놓음 돈이라도 제때 줘야지...
-
추리논증푸세요 6
오랜만에푸니까재밌어요
-
나 자꾸 짭산거 같아서 무섭다…
-
늦게 보는 곳은 한 2주정도 시간 있는걸로 아는데 가능할까요? 보통 언제부터 하시나용
-
진지하게 10퍼 넘기면 나이고려해서 정치권 역대급 거물 탄생이다
-
고양이가 걸어다닙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ㅏ!감사합니다!!!
파이널에 기출이 중요하대서 보고있는데 방향성이 맞는지 고민이 많았는데 그 고민이 명쾌하게 해결되는 칼럼이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분빨테됐네...
언제오시나요…?
10시쯤 올릴 예정입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