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기상모고세지 3
원래이렇게 어려운건가요....개념 알짜하고 파이널 바로왔는데...
-
근처에 여자 지인도 많고 실제로 연락도 ㅈㄴ 자주하고 다들 나보고 잘생겼다고...
-
서킷X 15회 0
9,10번 풀고 ㅈㄴ 어려워지는데 이거 맞냐... 3따리인데 희망이...
-
체감상 고3 수학이 훨씬 더 쉬웠는데 이거 맞음? 고3 10모 15번까지 30분컷...
-
수능이 10모 난이도로 나오면 수학 컷 어느정도로 봄? 21
미적기준 1컷88 2컷80?
-
대놓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거아닌가요??...
-
사실 불안함 4강은 갈거라고 믿는다
-
6평 2컷(찍맞1), 9평 1컷(찍맞×)인데 수학 실모만 보면 60점대에 4등급 뜸...
-
실모 양치기할때 올해, 작년 교육청뽑아서 같이 병행하는거 어떰? 요새실모 난이도...
-
적생모 앙코르 4회차입니다 해설지에선 각각 A,B,C당을 문자로 잡고 합이 240...
-
좆됐다.... 0
3월부터 사탐 유기해도 점수 잘나와서 가만히 뒀다가 9모 사탐 망하고 지금 좆된거가틈
탈관료제와 관료제 사이의 비교에선, 탈관료재에서 더 두드러진는 특성이라로 할 수 있어요 !
관료제는 연공서열이 더 중요하지않나
성과주의가 탈관료제에서 더 두드러지지않음?
관료제와 탈관료제 둘 다 과업중심임
그런데 전자는 후자에비하면 연공서열이더 두드러지고 후자가 성과주의가 두드러지지않음?
관료제가 연공서열 두드러지는건 맞는데
탈관료제가 성과주의 더 두드러진다고 보기는 좀 애매한거같음 관료랑 탈관료 둘 다 성과 과업을 중시하니까 효율적 조직 관리 체계를 위해 만든 시스템이고 탈관료는 관료제에서 생기는 목적전치현상이나 경직성 등을 줄이기 위해 대안으로 생긴거지
둘이 본질은 같아서 탈관료가 성과주의를 더 중시한다? 이게 맞는지는 모르겠음
일단 본인은 아니리고 생각함
저는 관료주의의 안정성을 부순이유자체가 성과때문인걸로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관료주의는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성을 중시
탈관료주의는 안정성을 희생하면서까지 극한의 효율을 추구하는걸로 알고있었음
탈관료가 중간 관리층 감소하고 의사결정단계 축소해서 예측 가능성이 낮아서 안정성이 좀 줄긴하는데 극한의 효율까지인지는 잘 모르겠음
좀 해석의 차이같긴함
탈관료제도 안정성 중요시 여기는건 맞아요
정도의 차이지
과업중심이면 둘다로 봐야할듯 둘다 공식조직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