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문화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80809
축적성하고 전체성은 어떻게 구분래야 하나요? 둘다 맞아보이는데 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반인 수준에서 철학자 수준질문을 던지면 완전히 반박 못하긴해서
-
3번인가 틀렸고15번을 찍맞했습니다15번빼면 70분도 안 걸린듯근데 15번에 15분...
-
ㅋㅋ
-
하지만 저는 해보겠음
-
다 자체제작문제인가여??
-
언매 1 생윤..2될까요
-
화작 87 0
2 가능할까요?
-
언매 비문학 난이도 최하 문학 중 언매 하
-
기저함수를 벅벅 0
회귀 끼야악
-
연애할때 6
외모를 90을 보는것 같은데 연애경험이 늘어날수록 성격으로 옮겨가나요? 아직 까진...
-
업키다 업키 3
오예
-
10평 5
10평에서 3합 몇정도 나와야 수능에서 3합7 맞출 수 있다고 보세여
이전 문화에서 더 추가되어 풍부해진다 ->축적 (키워드 풍부,추가)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관이 있어 다른 변화를 가져온다 -> 총체 (유기적,연관)
요런느끼므,,,? 다르긴한데 읽다보면 구분이 될거에요
축적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추가되는 요소가 있고 전체성(총체성)은 다른 부분이랑도 연관이 있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아요. 예를 들어 치킨이 예전에는 후라이드만 있었는데 오늘날 고바삭이랑 뿌링클 처럼 맛이 늘어난 건 축적성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고 치킨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서 배달산업이 발달했다고 하면 총체성이랑 연관이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