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70586
1.
현대국어에서 ㅕ = ㅣ+ㅓ 이고,
중세국어에서 ㅕ = • + ㅓ 인거죠?
2.
재출자가 만들어지는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초출자 + •, • + 초출자 모두 있나요?
3.
초출자 ㅗ, ㅜ는 • + ㅡ, ㅡ + • 로 만들어지는데, 이 때
'ㅡ'는 뭐 반모음이라고 따로 부르진 않나요?
그냥 'ㅡ'인가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x는 뭔가 초반에 어려운 듯 하면서도 갑자기 후반에 겁나 성의없는? 쉬운 문제...
-
네
-
올초 실모에서는 주요작품급으로 나왔는데 최근에는 나온걸 한번도 못본듯 그 젖꼭지처럼 까맣다 있는 시
-
하루에 6시간쯤 하던데 나는왜 3시간도 못 앉아 있을까 심지어 3시간이 순공이...
-
운동하시는분들 3
수능 전까지 계속 하실 예정인가요? 여름방학땐 맨날 했는데 개학하고 잘 못가니까...
-
공부하러 나왔어요 11
평일에 못 했으면 주말에라도 공부해야 하는데 가족 행사 어쩌고가 너무 많아서 강제로...
-
나는 바보 2
헤헤
-
나두 성적인증 4
하와와 물2지2 여고생인 거시와요
-
뭔가 직접 계획을 짜서 나한테 맞아서 좋은듯...그리고 직접 그 나라 거리 걸어보고...
-
배모 시즌2 너무 개같은데 적당히 어려운 실모로 부탁해영
-
내년 수능을 노리는 사람입니다. 원래는 물1을 제외하려 했으나 화1을 선택하는 것이...
-
평백 어느 정도 나와야 하나요??
-
작수 망치고 다음날아침에 일어났을때 그 좆같은 기분을 떠올려봅시다
-
뭐지 역대급인데 벌써 다섯 방 넘게 물림
-
사문 실모 3
ㄱㄱ
-
내 청춘 너무 아깝다 10
내년에 군대가고 제대하면 진짜 바로 자퇴한다.
-
명예는 있겠지만 부자는 아니지 않나 집안이 좋을거라 생긱해서 그런건가??
-
내가 죄인 만들어줄게
-
성 적 조작 4
흐흐흫
우선 발음과 글자의 생김새를 혼동하고 계십니다. 초출자, 재출자 이런 건 훈민정음의 제자해에 나오는 용어인데 "제자해"는 제자원리를 설명하는 파트입니다. 세종이 ㅕ라는 글자를 만들 때 ㅓ에 ㆍ를 합친 것은 맞습니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문자의 생김새의 영역이지, 발음/음운론적 영역이 아닙니다. 현대국어나 중세국어나 ㅕ는 j계 이중모음으로 발음은 j(반모음 ㅣ) + ㅓ입니다. 발음이 아니라 제자원리를 얘기할때ㅣ, ㅡ, ㆍ는 기본자라고 합니다. 이 기본자들을 합쳐 만들어진 모양의 글자가 초출자입니다.
아하 초출자 재출자 이체자 개념은 제자원리에 대한 것이지 발음에 대한 것이 아니군요.
그럼 중세국어에서 발음에 대한 부분은,
ㅑ[j+ㅏ], ㅕ[j+ㅓ], ㅛ[j+ㅗ], ㅠ[j+ㅜ],
ㅘ[w+ㅏ], ㅝ[w+ㅓ], ㅢ[ㅡ+j]
ㅙ[ㅗ+ㅐ], ㅞ[ㅜ+ㅔ]
은 현대 국어와 동일하고
•ㅣ[•+j], ㅚ[ㅗ+j], ㅟ[ㅜ+j], ㅐ[ㅏ+j], ㅔ[ㅓ+j],
ㅛㅣ[ㅛ+j], ㅠㅣ[ㅠ+j], ㅒ[ㅑ+j], ㅖ[ㅕ+j]
은 현대 국어와 다르다
로 알고 있으면 될까요?
+중세국어의 모음 종류를 다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겠죠? 그냥 주격조사, 서술격 조사 등등 대비용으로 발음정도만 알아두면 될까요?
발음 부분에서 ㅐ, ㅔ가 이중모음이라 ㅙ, ㅞ는 삼중모음이었다는 점만 아시면 됩니다.
중세국어의 모음 종류를 굳이 아실 필요는 없는데 그냥 생긴 대로 발음됐다고만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ㅐ는 ㅏㅣ, ㅔ는 ㅓㅣ 이런 식이었으니까요
답변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