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70586
1.
현대국어에서 ㅕ = ㅣ+ㅓ 이고,
중세국어에서 ㅕ = • + ㅓ 인거죠?
2.
재출자가 만들어지는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초출자 + •, • + 초출자 모두 있나요?
3.
초출자 ㅗ, ㅜ는 • + ㅡ, ㅡ + • 로 만들어지는데, 이 때
'ㅡ'는 뭐 반모음이라고 따로 부르진 않나요?
그냥 'ㅡ'인가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했는데 와보니까 생각보다 잡대여서 9월달 반수 결정. ?
-
오타 아닌지.. 미적 1컷이 75-76인데 기하가 이리 낮음?
-
성적 주작 ㅇㅈ 14
시발 주작이여야만함 살려줘
-
위로해주세요
-
어디 목표하시나요???
-
계정 탈퇴하고 튀었네요. 에휴 왜 저러고 사는 지 어이가 없네요 ㅋㅋㅋ 다들 저런...
-
ㄱㄸ 1일차 4
치타는 다시 달린다
-
1) 지인선 X 신성규 X KK 1회분 배포될 예정입니다. (미적, 확통 포함)...
-
약 2주 한번씩 실모 10번에서 막히는데 그때마다 진짜 찢고 싶음 서바 20회도...
-
전쟁도발 4
북한이 수능 한달전인거 알고 계획적인 심리전 하나 ㅋㅋㅋ 괜히 불안감 조성해서...
-
성적주작 해볼게요 17
저는 일주일 공부하고 2324수능 사문 1 받았답니다~
-
사탐 과탐 하나씩하는데 사탐은 50나올 자신있는데 과탐얘가...
-
차은우씨와 이동민씨의 관계는 매드클라운과 마미손의 관계인가요? 7
아님 최진우님과 케인님의 관계와 같나요?
우선 발음과 글자의 생김새를 혼동하고 계십니다. 초출자, 재출자 이런 건 훈민정음의 제자해에 나오는 용어인데 "제자해"는 제자원리를 설명하는 파트입니다. 세종이 ㅕ라는 글자를 만들 때 ㅓ에 ㆍ를 합친 것은 맞습니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문자의 생김새의 영역이지, 발음/음운론적 영역이 아닙니다. 현대국어나 중세국어나 ㅕ는 j계 이중모음으로 발음은 j(반모음 ㅣ) + ㅓ입니다. 발음이 아니라 제자원리를 얘기할때ㅣ, ㅡ, ㆍ는 기본자라고 합니다. 이 기본자들을 합쳐 만들어진 모양의 글자가 초출자입니다.
아하 초출자 재출자 이체자 개념은 제자원리에 대한 것이지 발음에 대한 것이 아니군요.
그럼 중세국어에서 발음에 대한 부분은,
ㅑ[j+ㅏ], ㅕ[j+ㅓ], ㅛ[j+ㅗ], ㅠ[j+ㅜ],
ㅘ[w+ㅏ], ㅝ[w+ㅓ], ㅢ[ㅡ+j]
ㅙ[ㅗ+ㅐ], ㅞ[ㅜ+ㅔ]
은 현대 국어와 동일하고
•ㅣ[•+j], ㅚ[ㅗ+j], ㅟ[ㅜ+j], ㅐ[ㅏ+j], ㅔ[ㅓ+j],
ㅛㅣ[ㅛ+j], ㅠㅣ[ㅠ+j], ㅒ[ㅑ+j], ㅖ[ㅕ+j]
은 현대 국어와 다르다
로 알고 있으면 될까요?
+중세국어의 모음 종류를 다 외우고 있을 필요는 없겠죠? 그냥 주격조사, 서술격 조사 등등 대비용으로 발음정도만 알아두면 될까요?
발음 부분에서 ㅐ, ㅔ가 이중모음이라 ㅙ, ㅞ는 삼중모음이었다는 점만 아시면 됩니다.
중세국어의 모음 종류를 굳이 아실 필요는 없는데 그냥 생긴 대로 발음됐다고만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ㅐ는 ㅏㅣ, ㅔ는 ㅓㅣ 이런 식이었으니까요
답변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