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형시절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55313
기하랑 미적이랑 엮어서
평면B 위의 평면도형의 평면A로의 정사영의 넓이 a1
그 정사영의 평면B로의 정사영의 넓이 a2 ..
해서 급수문제같은거 안나왔으려나
지금이야 따로배우니까 하고싶어도 못하겟지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전 노력 3:재능 4:운 3정도 같은데 어케보심요
-
5일짼데 병원 가봐야 대나
-
확실한 동기부여 17
열심히 살아야할 이유
-
[단독] 연세대 수시 논술시험 출제 실수에…시험 시간 20분 연장 7
12일 오후 자연계열 논술 시험 직전 문제 오기 발견해 12일 서울 연세대학교에서...
-
하..
-
아점 0
라면이 맛이 좋군요 이제 공부해야지
-
제가 진짜 어려운거만 맨날 풀어서 그런데 쉬운 실모 추천좀요… 기하가 있어야 해여 근데….
-
엄소연 따라가기 5
내년 겨울부터 다닐 생각인데 낮3따리가 엄소연 따라가기 괜춘하나요?
-
한계당
-
나만 그런가
-
삼성 0
내 전 썸녀가 삼성 팬이여서 같이 응원했는데 에ㅔ휴
-
졸리면 여러 가지의 생각이 중첩되어 하나의 사고인 듯 통합된다 여러 가지 주제와...
-
휫자휫자 7
휫자한판만 먹어야지
-
푸는거 오바인가요? 독서 문학 다섯지문씩요 총정리과재랑 이매진100 같이하려면...
공간도형 문제수가 정해져있고
무등비 도형도 4점 현역일때라 둘다 냈음
따로나왔나보네요
할아버지 그런거 말고 재밌는 얘기 해주세요
저 고삼인대
정석이나 논술같은데는 많이나왔어요
수능에 나왔나는 기억안나는데 시중문제랑 논술문제에서는 정말 많이봤습니다
근데 그냥 외우면 되는구조라.. 봤던문제중에 평면 3개던가 주고 왔다갔다하면서 등비수열 만드는건 첨풀때 좀 헷갈렸던것같기도하고
오우
그당시에는 새로운 수열 나오면 나열해서 관찰하라는 이야기를 해주는 경우를 못봤어서 스스로 관찰하던 사람 아니면 피봤죠.. 물론 수논에서 점화식 자체를 괴랄한거 많이 배우기도하고 피보나치같이 유명한건 일반항 찾기도 일반고에서 심화과정에 있고 등등... 지금보다야 점화식에 익숙한 세대였지만
그렇게 많은거 배우다보니 공식화가 될수밖에없고....... 수학과 진학해서 추가학습 이어가는게 아니라면 관찰력은 좀 약했던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