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54743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럼 한국사까지만 보고 집에 가나요?
-
취권써도 2
아무도 모르네ㅋㅋㅋㅋ평소에도 일을 취한듯이핸나
-
지금 워라밸 좋은데도 이정도 벌어서.. 의사 망하면 과외로 훨씬 더 많이 벌 것...
-
으흐흐
-
또로롱~ 소리나옴 수업중임 다들 ???상태 나: 음...어...그러니까요....티켓팅이요
-
고향친구들이 저랑 같이 보려고 표 끊어서 온대요 그전까지 빠짝해야지
-
이게 뭐라고 여러사람 마음 들었다가 놓는지
-
모교 가야되나 개먼데
-
선택과목 따로해야되는 건 또 뭐임 진짜 씨발 하… 강남 마감돼서 분당까지 가야되노 ㅋㅋㅋㅋㅋ
-
이거 왜 안눌리는거야?? 하고싶어 신청
-
다 입력했는데 버튼이 안눌려요
-
시멘트 뜯어내고 이래서 치우는데만 꼬박 이틀 걸렸는데 일어나니까 집에 물이 안나오네..
-
드가자 1
렛츠고
-
허접 늦기잇♡
-
결과 어케되려나 1
궁금하네......
-
빨리 결과 나와라...
-
희망회로 열심히 돌아가는 중.. 단톡방에서
-
많음?
-
D-15분 1
잘보셧나요
2-1 높아진단게 무슨의미죠??
A-2는 10/20에서 14/16돼서 1이 안되는데도 높아졌는데..
첨부터 20/10이었던 B는 딱 한번 측정했기에 높아졌는지는 모르고..
14/16>1 이고 A-1은 18/12<1이였고
A도 20/10<1, B도 10/20>1이였음
다른 요인을 고려하지 않을 때 행복도는
A-1과 A-2 비교에서
똑같이 자기계발시간이 증가하고 봉사 시간은 감소했는데
봉사시간 대비 자기계발시간의 비는
A-2, B가 1보다 크고, 1보다 큰 경우에 한해 행복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표1에서 A-B비교에서 B만 1보다 크고
표2에서 A-1, A-2비교에서 후자가 1보다 크니
각각의 경우에 대해
후자는 같은 영상의 변화임에도
변화 후 비율이 1보다 클 경우 행복도가 커졌고
전자는 비의 값이 1보다 큰 B가 더 크길래
제시된 자료만 보면
A-1/A-2는 비의 값이 1보다 크게 변화해야
행복도에 영향을 주고,
A와 B는 두 변수에 한해
비의 값이 1보다 큰 경우가 상대적으로 행복도가 높지만
이를 단정할 수는 없다
이렇게 썼음
B가 변화한다는 것이 아니라
죄송해요
A-1 봉사시간 2 줄어들고
A-2 봉사시간 4 줄어든거 아닌가요?
A,A-1,A-2 셋다 계발시간/봉사시간 < 1 아니었냐는 말이었음
제가 잘못이해한거죠??
14/16>1 이고 A-1은 18/12<1이였고
A도 20/10<1, B도 10/20>1이였음
이게 무슨말인지 모르갯네요..

분모랑 분자를 바꿔서 썼네요거꾸로 읽으시면 됨
A-2의 계발 / 봉사가 1이상이었다구요?
10/20에서 계발 +4 봉사 -4아니었나요??
14/16 < 1
”A-2, B가 1보다 크고, 1보다 큰 경우에 한해 행복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