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의 종성에 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50986
훈민정음에서 8종성가족용법이라 알려진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종성은 ㄱㆁㄷㄴㅂㅁㅅㄹ의 글자로 족하다)”라는 말을 한 것은 종성 자리에선 이들 여덟 소리만 발음되었기 때문이다. 현대 국어의 ‘낱[낟]’, ‘낟[낟]’과 같은 현상이 중세 국어에도 있던 것이다. 현대 국어와 달리 ‘ㅅ'까지 언급한 것으로 보아 종성에서 ‘ㅅ'은 그 자체의 소리가 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성 ㅅ
훈민정음에서 ‘ㅅ'과 ‘ㄷ'을 종성에 달리 설정하였는데 이는 현대국어와 달리 ‘ㅅ'이 종성에 있더라도 [ㄷ]으로 발음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갇, 긷, ᄀᆞᆮ, ᄆᆞᆮ’ 등이 ‘갓, 깃, ᄀᆞᆺ, ᄆᆞᆺ’ 등과 전혀 혼동되지 않고 쓰였다. 또 ㅈ, ㅊ 말음을 가진 단어의 경우 ㅅ으로 중화 그러니까 ㅅ이라는 대표음으로 교체되었다. 이 'ㅅ'은 초성의 ‘ㅅ'과 같이 [s]를 나타냈다고 여겨지는데 16세기에 들어서며 종성의 ‘ㅅ'이 현대국어처럼 음절 말 ‘ㄷ'과 같아진다. 그래서 15세기의 ‘잇ᄂᆞ니’ 등의 표기가 16세기가 되며 ‘인ᄂᆞ니’처럼 쓰이는 것이다. 음절 말 ‘ㅅ'이 [t]로 실현되고 뒤의 ㄴ의 영향으로 비음화된 것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국어학계에서는 종성의 ‘ㅅ' 중 사이시옷의 경우 [s]로 실현됐다고 보지 않는다. ᅙ처럼 단순히 경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기로 보기 때문인데, 만약 ㅅ계 합용병서를 경음이 아니라 자음군으로 본다면 사이시옷의 ㅅ 역시 발음되었다 볼 수 있다.
종성 ᅀ
훈민정음에서 ‘여ᇫ의 갗’을 ‘엿의 갓’으로 적도록 했는데 그렇다면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제외한, 음소적 표기를 지향한 문헌에서는 음절 말에 ‘ᅀ’이 나타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용례를 다음과 같이 ᅀ이 쓰였다.
모음과 ‘ㅇ' 사이
1. 어간 내부: 거ᇫ위, 우ᇫ이
2. 곡용(특수어간교체): 아ᇫ이, 여ᇫ이
3. 일부 용언의 활용: ᄇᆞᇫ아, 그ᇫ어
모음과 ‘ᄫ’ 사이
파생어: 우ᇫᄫᅳ-
이러한 어휘들은 ‘ㅅ'을 음절 말에 표기한 예보다 일반적인 표기인데, 중세국어 당시 모음과 ‘ㅇ' 사이나 모음과 ‘ᄫ’ 사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ᅀ[z]’이 음절 말음으로 발음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종성해>에서 ‘ᅀ’을 ‘ㅅ'으로 표기하도록 예시한 이유는 무엇인지 해명되어야 한다. 위들 예는 ‘것위, 앗이, 엿이'처럼 ‘ㅅ'형 용례들도 존재한다. 이는 음절 말의 ‘ㅅ'이 음가가 있는 ‘ㅇ'과 ‘ᄫ’ 앞에서는 [z]라는 발음으로 실현되었지만(유성음화) 당시인에게는 /s/와 동일한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즉, 15세기의 종성은 음성적으로 팔종성에 ‘ᅀ’까지 더해 아홉 가지의 소리가 있었지만 음운론적으로는 팔종성만 존재한 것이다.
따라서 9종성의 음가(음성)는 다음과 같다.
ㄱ, ㆁ, ㄷ, ㄴ, ㅂ, ㅁ, ㅅ, ᅀ, ㄹ
[k̚, ŋ, t̚, n, p̚, m, s, z, r]
ㄹ의 음가는 소신애(2008), "중세 국어 음절말 유음의 음가와 그 변화 - 방언 자료와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에서 논의하고 있으니 국어사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설대수리학과 5
수능국어2수학1나머지과목1이면 ㄱㄴ할까요
-
한숨한번 쉬시더니 니 나이가 몇인데 그런글 쓰고있냐..하아 이러시더라 그 디씨에...
-
수능 준비 과정에서 학생들은 각기 다른 방법과 사고방식으로 공부에 임합니다. 그러나...
-
재능 노력 비율 몇퍼임 << 말 자체가 짜 증 남 10
비율 알면 어쩌게 존나짜증나네 결국 남탓 사회탓 빌드업
-
비대칭성(asymmetry), 확률적 차이-제작자(probabilistic...
-
수2 극한 로피탈 21
0분의0꼴 이니까 로피탈을 사용가능해서...
-
정법러분들 서바나 평가원 문제들은 그래도 잘 풀리는데 퀄만 풀면 상당히 많이 틀리는...
-
연습이 되서 그러는 지 진짜 어려운 내용 아니면 지문 내용 전체가 읽으면서 머릿속에...
-
호시탐탐 2
탈출각재기
-
윤사 홉스 질문 2
홉스 “이성은 자연상태의 공포로부터 평화를 수립하도록 명령한다” O 라네요 홉스가...
-
원래 실모기록 안하는데 하나(28) 찍맞이긴해도 첫 실모백이라 들뜬마음에 씀…...
-
독서실 선수입장 0
후.... 오늘은 어제와 다르다
-
정법 이번 6,9월 모의고사 선거문제 개념형이랑 계산형 중에 3
뭔가요??아직 선거부분 공부를 제대로 안 해서 구분이 안돼요ㅠㅠ
-
초코파이 오예스 카스테라 요런류 과자중에 마가렛트가 제일 맛있다
-
19수능 직후 22수능 직후인가여
-
담원과 한화의 경기력을 보고 믿을것 당신뿐인것같습니다 GOAT
-
롤스: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달리 차등의 원칙을 해외 원조에 적용하지는 말아야...
-
조연 배우급은 되는듯 말빨이며 이미지 관리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