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의 종성에 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50986
훈민정음에서 8종성가족용법이라 알려진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종성은 ㄱㆁㄷㄴㅂㅁㅅㄹ의 글자로 족하다)”라는 말을 한 것은 종성 자리에선 이들 여덟 소리만 발음되었기 때문이다. 현대 국어의 ‘낱[낟]’, ‘낟[낟]’과 같은 현상이 중세 국어에도 있던 것이다. 현대 국어와 달리 ‘ㅅ'까지 언급한 것으로 보아 종성에서 ‘ㅅ'은 그 자체의 소리가 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성 ㅅ
훈민정음에서 ‘ㅅ'과 ‘ㄷ'을 종성에 달리 설정하였는데 이는 현대국어와 달리 ‘ㅅ'이 종성에 있더라도 [ㄷ]으로 발음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갇, 긷, ᄀᆞᆮ, ᄆᆞᆮ’ 등이 ‘갓, 깃, ᄀᆞᆺ, ᄆᆞᆺ’ 등과 전혀 혼동되지 않고 쓰였다. 또 ㅈ, ㅊ 말음을 가진 단어의 경우 ㅅ으로 중화 그러니까 ㅅ이라는 대표음으로 교체되었다. 이 'ㅅ'은 초성의 ‘ㅅ'과 같이 [s]를 나타냈다고 여겨지는데 16세기에 들어서며 종성의 ‘ㅅ'이 현대국어처럼 음절 말 ‘ㄷ'과 같아진다. 그래서 15세기의 ‘잇ᄂᆞ니’ 등의 표기가 16세기가 되며 ‘인ᄂᆞ니’처럼 쓰이는 것이다. 음절 말 ‘ㅅ'이 [t]로 실현되고 뒤의 ㄴ의 영향으로 비음화된 것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국어학계에서는 종성의 ‘ㅅ' 중 사이시옷의 경우 [s]로 실현됐다고 보지 않는다. ᅙ처럼 단순히 경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기로 보기 때문인데, 만약 ㅅ계 합용병서를 경음이 아니라 자음군으로 본다면 사이시옷의 ㅅ 역시 발음되었다 볼 수 있다.
종성 ᅀ
훈민정음에서 ‘여ᇫ의 갗’을 ‘엿의 갓’으로 적도록 했는데 그렇다면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제외한, 음소적 표기를 지향한 문헌에서는 음절 말에 ‘ᅀ’이 나타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용례를 다음과 같이 ᅀ이 쓰였다.
모음과 ‘ㅇ' 사이
1. 어간 내부: 거ᇫ위, 우ᇫ이
2. 곡용(특수어간교체): 아ᇫ이, 여ᇫ이
3. 일부 용언의 활용: ᄇᆞᇫ아, 그ᇫ어
모음과 ‘ᄫ’ 사이
파생어: 우ᇫᄫᅳ-
이러한 어휘들은 ‘ㅅ'을 음절 말에 표기한 예보다 일반적인 표기인데, 중세국어 당시 모음과 ‘ㅇ' 사이나 모음과 ‘ᄫ’ 사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ᅀ[z]’이 음절 말음으로 발음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종성해>에서 ‘ᅀ’을 ‘ㅅ'으로 표기하도록 예시한 이유는 무엇인지 해명되어야 한다. 위들 예는 ‘것위, 앗이, 엿이'처럼 ‘ㅅ'형 용례들도 존재한다. 이는 음절 말의 ‘ㅅ'이 음가가 있는 ‘ㅇ'과 ‘ᄫ’ 앞에서는 [z]라는 발음으로 실현되었지만(유성음화) 당시인에게는 /s/와 동일한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즉, 15세기의 종성은 음성적으로 팔종성에 ‘ᅀ’까지 더해 아홉 가지의 소리가 있었지만 음운론적으로는 팔종성만 존재한 것이다.
따라서 9종성의 음가(음성)는 다음과 같다.
ㄱ, ㆁ, ㄷ, ㄴ, ㅂ, ㅁ, ㅅ, ᅀ, ㄹ
[k̚, ŋ, t̚, n, p̚, m, s, z, r]
ㄹ의 음가는 소신애(2008), "중세 국어 음절말 유음의 음가와 그 변화 - 방언 자료와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에서 논의하고 있으니 국어사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 부분을 너무 못하는데 책 한 권으로 타파 할 수 있는 그런 강좌나 책...
-
첫문장 but the circumstances .. 문장에서 that이 두번나오는데...
-
오늘 늦잠자서 걍 학원안가고 5시간째인데 못이김
-
지방대 다니다가 군수로 인하대 공대 붙고 전역후에 성적 오른게 아까워서 온전히...
-
노벨상중에 문학상이 11
가장 위상이 높지 않음?
-
세면대 무너져 등 40cm 베인 중학생…응급실 뺑뺑이 끝에 대전서 수술 2
등 부위 40cm 열상으로 긴급 수술이 필요했던 부산 지역 중학생이 대전 건양대...
-
공대가지마라 2
ㅠㅠ..
-
찍특 대유행
-
기차를 타고서 5
집으로 돌아가는 중...오늘은 좀 쉬는 느낌으로 6평 독서 분석을 할거에요
-
다들 국어 공부 3
다들 국어 공부 뭐하고 계신가요?? 특히 2등급분들이 궁금해요!
-
퀄리티 ㅆㅅㅌㅊ급으로 좋음 난이도 ㅅㅌㅊ급으로 높음 80점 3등급 ㅋㅋㅋ
-
2시간 어디갔노
-
간만에잘봣네
-
서바 국어 특 1
이감 -> 하.. 어렵다 -> 그래도 이건 맞힌 거 같은데, 이건 긴가민가하네 맞힌...
-
ㅈㅈ 어캐 공통보다 못푸는게 많지 모든회차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