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문장 읽는 방법느낌? 좀알려주실래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47504
첫문장 but the circumstances .. 문장에서 that이 두번나오는데
처음 that은 circumstances 꾸며주는 관계대명사이고 그다음 that 은 reaching을 꾸며주는거로 보고 해석하는데
두번째 that 뒤에 goal pushed him까지 절인줄알고 해석하다가 읽는데 문장에 동사가없으니까
Pushed가 문장의 동사인걸 확인하고 다시 해석했어요..
이런문제때문에 읽는데 시간이 좀 오래걸리는편같은데
제가 문법을 잘몰라서기도 하지만
잘하시는분들은 읽을때 어떤흐름으로 읽나요?
That 이나 관계절 같은게나오면 동사가 어디꺼인지 또는 이 관계절이 어디까지인지 읽을때 구분이 바로안되네요
끊어서 읽기보다 자연스레 읽고싶은데.. 팁이있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1 22 틀렷고 확통 27 29 30 말려서 다 틀렷는데 1...
-
7덮이 좀 더 빡센거 같긴한데
-
나는 더프형인간이 아니다 수능형인간이다
-
ㅇㅇ
-
존잘ㅇㅈ 4
존나잘함
-
더프 수학 11 12 13 14 15 21 22 다맞추고 7 10 16 틀렸는데 자살이답인가요진짜
-
시간 있었으면 30번도 풀만했을듯 29번풀때10분남았다고종침
-
저도 작년 8덮 수학 69점이었습니다
-
더러운얘기) 2
오늘수학풀때 수분조절잘못해서 급한상태로풀었음 화장실갈까햇는데 모래주머니 하겟답시고...
-
안녕하세요. 요즘 사설 푸시고 할 게 많으시죠 혹시 공부하시던 중에 정리가 필요한데...
-
수학88 기하임 기하왤케어렵노ㅅㅂ것
-
문학몇분걸렸냐 0
시계가없어서모르겠노 시발ㅋㅋㅋㅋㅋㅋㅋ
-
아 문제 어떨까https://orbi.kr/00074388154/(댓글 38번 오류)
-
거의 40분걸렸어 시발
-
ㄹㅇ 개깡촌인데 뭐지다노
-
39점을 받음;;;
-
더프 14번 0
하 A에 (-7,1) 로 잘못 적어서 2번 써서 틀ㅆ다 ㅜㅜㅜㅜㅜ
-
근데 나도 0
스탑워치 의식하는 순간 무너지는거 같음 오히려 시간 신경 하나도안쓰고 그냥 푸는게 더 안정적
-
ㅌ이 ㄷ으로 교체되고 ㅎ이랑 축약된거일거임
-
한참이따가 다시보려고 클릭하다가 더블클릭으로 하트눌렀네 ㅅㅂ
-
더프에 과적합해졌어
-
13번 푸는데 내가 잡은 미지수가 음수면 절대 안된다는 생각에서 빠져나오질 못해서...
-
사설도모고 유독 더프만 진짜 존나게 쳐망함 원래 2등급 정돈 나오는데 더프는...
-
기대가되는구나..... 반응은 두개중 하나겠지...
-
이거 좋은거지? 아싸
-
ㅈ됐는데 나만 기하 어려웠음??? 아예 보이질 않아서 ㄹㅇ 자살마웠는데ㅠㅠ
-
3만 5천원을 내어 주고 지금 오르비 메타에 참여했어야 했는데
-
풀어볼까 흠
-
쉽게 나와서 다들 많이 맞췄을거 같은데 나 혼자 많이 틀린 느낌이라서 이번에 등급...
-
이해원이랑 강x나 풀어야지
-
언매임 24442 53323 44151 41435 52453 11143 5245...
-
국어 80중후 수학 70초 ㅋㅋ
-
8덮 국어100 1
휴 수학은 망이지만 국어로 커버했네..
-
독서는 그냥 그랫는데 문학이 어려우니까 전반적으로 다어려운 느낌 그리고 뭔 언매...
-
수학 공통15 22틀인데 미적 27 28 29 30 나갔는데 이거 쉬운편 아니죠?...
-
최단거리 경로 셀뻔~
-
ㅈㄱㄴ
-
언매 37번 2
방향실수계속함 시발
-
오늘 더프 조졌어도 수능때는 잘할 수 있을 거 같음
-
독서 20분 언매 13분 걸렸는데 문학에서 개 쳐 말아서 시간 부족함
-
확통 29답 1
933맞나여
-
씨브랄 암파인 괜차나 딩딩딩딩딩
-
나 국백같음 2
ㅋㅋ아니면말고
-
계산하는데 개말려서 ㅈ박음 ㅈㅈ
-
작년이랑 재작년에 오르비 하면서 사설 언매 문제 질문 몇 번 받아봤는데 굳이? 싶은...
-
씨발 이상한데
-
시계마저 없어버리니 시험 운용이 아예 안됐네 버리면 안되는 문제 다 버려짐 돌아가질못함
South Pole explorer Ernest Shackleton
남극 탐험가 어니스트 섀클턴은
생각: '남극 탐험가' 어? 뒤에 인명이 나오네? 아 이건 동격의 의미구나. 즉 '남극 탐험가 어니스트 섀클턴'이라는 뜻이구나.
never reached
절대[결코] 도달하지 않았다[못했다]
his goal 그의 목표에
of crossing Antarctica,
가로지르는 것의/남극을
생각: 맥락상 '그의 목표 = 남극을 가로지르는 것'이니까 이건 동격 of네. 그냥 대충 '남극을 가로지르는 목표'라고 생각하면 되겠구나.
but
하지만
the circumstances
그 상황은
that prevented him from reaching that goal
그가 그 목표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했던
생각: 갑자기 명사(주어) 뒤에 that절이 나오고 that절 안에 주어가 없으므로 이건 주격 관계대명사절이네. 그리고 마침 'prevent O from v-ing'가 나오니까 'O가 v하는 것을 막다[방해하다]'라는 숙어구나. 또 that goal은 맥락상 reaching의 목적어이므로 '그 목표'라고 해석하면 되겠네.
pushed him to achieve an even more amazing feat.
그가 성취하도록 밀어붙였다 / 훨씬 더 놀라운 위업을
생각: pushed 뒤에 O to-v 구조고.. 맥락상 O가 to-v하는 것이니 안봐도 5형식이네. 5형식 해석공식 맞춰서 'O가 O.C하도록 v하다'로 읽으면 되고, 뒤쪽은 비교급(more amazing) 앞에 비교급 강조 표현인 even이 붙어 있으니 even은 '훨씬' 으로 읽으면 되겠네.
이상입니다.
---
+ 강사님마다, 또 사람마다 익히고 가르치는 방법은 다르겠으나,
저같은 경우 각 문법개념들을 레고조각 끼우듯 차근차근 파츠별로 모두 가르치고,
각 파츠들이 어떻게 해석되는지 해석법을 따로 가르치고 평소에 꾸준히 훈련(연습)시켜, 실전에서 문장을 만났을 때 별 생각 없이 평소 훈련(배운) 대로 술술, 또 부드럽게 해석할 수 있게끔 가르칩니다.
그런 방식으로 읽은 것이 위의 내용이겠지요.
질문자분이 그 내용을 빨리 파악하지 못했던 것은, 제가 보기엔 크게 두 가지 때문입니다.
첫째, 관계사절이 문장에서 처음 등장하는 명사(sircumstances), 즉 주어에 붙어 있기 때문에 관계사절이 끝나고 본동사가 나온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데 전체적인 문장 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그냥 적힌 대로 읽어나간 것이 문제입니다.
둘째, 해석은 '그냥' 술술 나오는 것이고, 우리의 머리는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쓰여야 합니다. 즉 해석을 해나가면서 문장을 만들어나가야 하는데 앞 내용이나 전체적인 문장의 맥락을 생각하지 않고 단어 하나하나에 집중하며 읽어버리면 문장을 해석하는 도중 어디가 주어였고 어디가 목적어였는지 등 문장 내용을 잊어버리거나 구조가 무너지는 등의 문제가 생겨 해석 도중 헤매게 됩니다.
질문하신 부분의 경우 '그 상황은 / 그가 그 목표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했던' 으로 해석이 깔끔하고 의미가 온전하게 마무리되기 때문에 reaching 뒤에 온 that goal에서 that이 무언가를 더 추가설명하는 관계사절일 가능성은 대단히 떨어집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뒤에 따라온 pushed를 본동사로 읽으면 되겠지요. 이처럼 해석을 할 때는 단순히 구조/문법을 떠올리며 읽는 것뿐만 아니라(=사실 이건 기본 패시브고) 내용을 '이해'하면서 읽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여담입니다만, (기본 용법으로 사용된) 동명사는 관계사절의 선행사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그러니 reaching은 선행사가 될 수 없으므로 더더욱 그 뒤의 that은 관계사가 될 수 없습니다. 이런 문법 규칙들을 외워두시면 실전에서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
다시 말해서 문장은 '해석'과 '이해'를 동시에 해나가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순간순간 단어를 마주칠 때마다 그것을 적힌 대로 '해석'해나갈 뿐, 문장 전체의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문장을 읽을 때는 해석과 이해가 동시에 되어야 합니다. 맥락과 논리는 지문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 하나의 문장 안에도 그 안에서 맥락과 논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의 연장선으로, 이게 '다의어'를 잘 다루는 비결이기도 하고요. 하나의 문장을 읽을 때도 그 안에서 내용을 이해해가면서 읽어야 다의어를 만나도 그 다의어가 어떤 뜻으로 쓰였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ㅠㅜ 도움이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