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34308
수완 2단원 11번에
[밀 -> 칸트] 개인은 자기 자신의 행복 추구라는 동기에 따라 행위할 수 있음을 간과한다. (X)
저는 이 선지가 밀(공리주의)는 자기 자신의 행복이 아닌 사회 전체의 행복 증진을 추구하니까 밀이 주장할 수 없다고 생각했는데, 해설지에는 ‘칸트는 개인이 자기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려는 동기에 따라 행위할 수 있다고 보았다.’라고 나와 있더라고요.
저처럼 생각하면 안 되나요? 그리고 칸트는 도덕 의무 의식만이 동기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지 않았나요? 저 문장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5분컷 44점!
-
징병됨? 발로도 브론즈 1인가 그러긴함 ㅇㅇ 참고로 옵치 시즌2부터함
-
외출할 맛 난다
-
연애 상담은 못해주는 오르비 아 ㅋㅋ
-
피곤하구뇨 3
깝휘한잔 따뜻하게 마시고 자야지
-
사이렌소리 들리면 ㄹㅇ 개ㅈ같겠네 더프 칠때도 사이렌 들리니까 몇분동안 스턴왔음
-
6~9 풀어봤는데 막전위 진짜 ㅈㄴ 어렵네..
-
원래 2번풀이가 정석인거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1번 풀이처럼 t와k의 관계와...
-
이 식이...
-
또
-
공하싫발동 4
역대급이다
-
잠실로 가야겠군 2
장성우 후보 완박이 최대 패착이다
-
반육십 내 인생도 조금은 젊어지는 기분입니다
-
간다 2
논술로든 정시로든
-
난 아는 후배 없어서 다행이다..
-
비행기도 멈추게 하는 수능 날이라면
-
ㅋㅋㅋㅋ 0
앞쪽 진짜 ㅈ됬다~~
주장과 현상을 헷갈리면 안됩니다
감사 인사가 늦었는데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상당히 대충 설명 드렸는데 죄송해지는군요....아닙니다 ㅋㅋㅋㅋㅋ 시간 안 들이고 한 문장만으로 이해되게 해 주셔서 감사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