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차이가 뭐에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18852
절댓값에 따라서 어떤건 f(x+1) - f(x) 또 어떤건 그냥 f(x)가 붙는건지…?
위에 식은 g’(x) = f(x)
아래식은 g’(x+1) = f(x+1) - f(x) 이라고 해서요
위에 있는 식은 원래 알고 있었는데 최근에 아래식을 알고나서
좀 헷갈려져서.. 이거 차이가 뭔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루에 200명씩 들어오네ㅋㅋㅋㅋㅋ매일보다가 멘탈 다털림 딱 750인데 실제로도 컷 걸칠거같은 느낌
-
ㅇ
-
영단어 외울때 9
동의어 반의어 품사도 외우라고 하는데 이게 사람이 가능한 기억력 인가요? 일주일에...
-
10명선발 34명지원 점공 18명들어옴 일단 나까지는 절대 안오는거 암
-
반수 생각 중인데, 원래도 수학 5등급이었고 이젠 수능공부 놓은지 좀 돼서 다시...
-
현역 성적대 대학이랑 같이 올려주심 ㄱㅅ요
-
난 알파메일임 질문받음
밑에 있는 식을
0 to x+1 에서 0 to x 적분한거 뺀거라 생각해보셔용
엄..
안에 있는 절댓값이랑은 아예 상관없어요
좀 이상한 발상이지만 x가 정해지지 않은 미지수라서 그런건가요..?
위에게 g(x) = ∫-4 to x f(t)dt인걸 미분하면 -4는 상수고 x는 변수니까 g'(x) = f(x)가 되는건데
밑에거는 x+1이랑 x 둘 다 변수여서 그런거냐라고 물으시는거면 네..
위끝과 아래끝에 있는 것의 차이
X+1 x 말씀 하시는 거.. 맞죠?
제가 이해를 못해서 ㅜㅜ..
네
위에 함수는 아래끝에 상수가 있으니 미분하면 사라지고
아래 함수는 아래끝에 함수가 있으니 미분해도 남아있는거에요

와아아 이해 바로 됐어요 감사합니다 !밑에 |f(t)|를 h(t)라 적으면 잘보일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