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이 있기 전 한국어는 한자로 표기하였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18339
한국어는 그대로 한국어였습니다. 다만 발음이 다소 다를 뿐
중세국어는 정설을 착실히 따른 발음입니다. 고대국어의 모음은 좀 말이 많긴 한데 자음은 대체로 합의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첫 링크에서 쓰인 문헌은 '헌화가'인데 저기서 모음은 그렇게 바꾸지 않고 중세국어와 거의 일치시켰습니다. 또 신라어 내지는 고대 경주 방언을 추정한 것인데 그 당시에 악센트(성조)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도 논란이 있는 주제고 저 성조도 중세국어로 추정했을 뿐이라 성조의 경우 신빙성이 많이 떨어집니다.
아니 시발 이거 한국어 맞아? 중국어 아님? 이렇게 다를 리 없음 ㅇㅇ. 이러시면 안 되고요 원래 몇 백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다 현재와 소통이 불가능합니다. 고대국어와 달리 자료가 풍부해서 이미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고대영어 문헌 베오울프(Beowulf)의 낭독을 한번 보시길 바랍니다. 과연 현재의 영어 화자들이 이걸 알아들을 수 있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끝없이펼쳐지는보라매의꿈
-
ㅈㄱㄴ
-
2회차 후반부 가면 머리가 안돌아감 연속으로 안해야겠다
-
+10점 하려면 하루 한시간은 넘 적을까여 듣기는 다맞음 독해쪽이 문제
-
대리출석 겠또 3
시간 아꼈다 교수님 미안해요
-
50 50 을 향해
-
5번 12번 16번 개념문제 엄...
-
물론 중요하다고 생각하긴 했지만 와서 더 중요하다고 느낌 일단 배우는 내용도 조금...
-
해석을 잘하고 어떻게 해야할지 근간적으로 사고하는법을 어떻게 깨달으심?? 6수 끝에...
-
김승리의 선택 5
17분,-1에서 벗어나질 못하네 수능날은 비문학 한지문 버리고 독서 28 문학 32...
-
아님 이게 정상인건가
-
3학년 1학기때 딱 정시로 돌렸던 그날.. 영어 공부를 안하고 ’응 모의고사...
-
기념으로 팔 걸어주시면 맞팔 해드려요
-
2만번 정도 뽑았으면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