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풀 때 해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14824
1 2 진동인데 최저러라 무조건 1 띄워야 하거든요
원래는 그냥 이해되는 대로 빠르게 읽고 선지보고 안나오면 여러번 빠르게 읽었는데
션티쌤 캐스트에서 무조건 한국어로 해석하라고 하셔서 그렇게 해보니까
글은 더 잘 이해가 되는대 시간이 부족하더라고요
걍 읽으면서 한국어 거치지 않게 받아들여지도록 하기 vs 한국어로 해석하면서 읽기
뭐가 수능영어에 최적화된 방법론일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너무 감@사할 듯
-
요즘취미 3
덕코모으기
-
닉변 완 2
범부 입갤
-
유일하게 기억나는게 악당간부 뒤질때 지 절친 간부한테 장례식에 주인공들 초대해달라...
-
낭만있네 무슨 바람이 불었길래 신기한거 많다잉
-
내꺼 집합. 19
-
왜 그런건가요?
-
ㅅㅂ 1번이 헷갈리네 개념 다 휘발됨 이게 맞냐????
-
ebs 질문 0
과탐 수학도 국어처럼 6,9평에서 수특 수완에 연계된 문제는 수능에서 연계 대상에서 제외 되나요?
-
윳테 6
오봇-쨩 오죠-쨩 오카네모 사이노모 나마지카 아루다케 얏카이데얀스
-
✊️✊️✊️✊️
-
알람을 안맞추고 자서 공부를 얼마 못했네요…ㅎㅎ
-
문학 다 보고 들어가본적이 없는디
전 걍 1번파요
전 1번파요 띵학쌤 방식ㅇㅇ 2는 시간 부족함
저도 띵학샘 리로직이랑 그불구 듣는데 신택스 알고리즘에서 그냥 자연스럽게 읽으라 하시던가요?
강의에선 해석을 해주셔서션티쌤처럼 읽으라 하시는줄 알았는데..
신택스에서 백번쯤 들은게 부드럽게 해석해라 이건데 이게 거의 영어를 영어로 받아들이는거랑 비슷해요
걍 읽으면서 한국어 거치지 않게 받아들여지도록 하기 vs 한국어로 해석하면서 읽기
A. 어느 쪽이든 잘쓰면 상관없습니다. 공부한 독해법에 따라 달라지는 겁니다. 그대로 받아들이도록 배웠다면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고, 한국어로 바꿔 해석하는 걸 배웠다면 한국어로 바꿔 해석하게 됩니다.
뭐가 수능영어에 최적화된 방법론일까요
A. 이 둘의 문제는 좋고 나쁘고 구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무엇이 수능영어에 최적화된 방법론이냐고 묻는 것이 무의미합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1번에 대한 A와 마찬가지로, 잘 쓰는 게 곧 좋은 겁니다.
----
여담으로, '부드럽게 해석하라'라는 의미는 꼭 영어를 영어로 받아들이는 것만은 아닙니다.
한국어로 바꿔 해석하더라도 물 흐르듯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이 얼렁뚱땅 소위 '단어만 더듬더듬 번역하는 해석'을 하니까 '조사'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해 부드럽게 해석을 해내지 못하고, 그로 인해 '한국어 해석 = 부드럽지 않은 해석'이라는 인식이 생긴 듯 합니다.
해석을 부드럽게 하는 건 영어를 영어로 받아들이는 것도, 한국어로 바꿔 받아들이는 것의 문제도 아닙니다.
해석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따로 배워야 합니다. 영어의 경우라면 많은 문장을 접함으로써, 한국어의 경우라면 조사를 활용하는 훈련을 하면서 말입니다.
마치 축구에서 드리블할때마다 생각해서 차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