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는 “피드백” 과정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02933
많은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를 하지만, 성적이 오르지 않거나 오히려 떨어지는 경험을 합니다. 이러한 경우, 문제는 재능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잘못된 방식으로 노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공부는 단순히 반복하는 노동이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자기 자신의 학습 태도와 사고 과정을 개선하는 과정입니다. 그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문제풀이 후 '나'에게 피드백하기
많은 학생들이 문제를 푼 후 틀린 문제만 오답 노트를 작성하고, 그 문제를 다시 푸는 데 그칩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문제'에 대한 오답 처리일 뿐, 자신의 잘못된 풀이 과정에 대한 피드백이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나' 자신이 왜 그 문제를 틀렸는지를 철저하게 분석하는 것입니다. 문제를 푼 후 "내가 이 문제를 맞히기 위해서는 어떤 사고 과정을 거쳤어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합니다. 단순히 해설지를 읽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접근 방식을 되돌아보고 올바른 사고 흐름을 다시 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스스로에게 피드백을 주면, 새로운 문제를 만났을 때도 더 나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2. 단순 반복을 피하고 사고 과정에 집중하기
많은 수험생들이 공부를 할 때 문제를 많이 푸는 것에만 집중합니다. 하지만 단순한 반복은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수능은 기출 문제의 사고 과정을 반복적으로 변형해 출제되므로, 기출 문제의 본질적인 사고 과정을 완전히 습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풀 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사고 과정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생각하면서 푸는 연습을 하세요. 이처럼 기출 문제에서 얻을 수 있는 사고 패턴을 정확히 습득하고, 이를 다양한 문제에 적용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문제를 푸는 노동이 아니라, 사고 과정을 분석하고 적용하는 공부를 통해 실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반복 학습보다는 전략적인 학습을 하라
효과적인 학습은 단순 반복이 아닌 전략적 접근에서 나옵니다. 공부 시간이 많다고 성적이 무조건 오르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반복해서 틀리는 유형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맞는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약점을 정확히 파악해 그 부분을 보완하는 학습이 필요합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많은 문제를 풀기보다는, 풀이 과정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사고 과정을 점검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합니다.
공부는 단순히 시간을 들여서 노동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피드백을 주며 사고 과정을 개선하는 피드백의 연속입니다. 공부 방법을 잘못된 방향으로 반복하는 것이 아닌, 올바른 방향으로 사고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수험생 여러분이 자신의 공부 방식을 점검하고 개선해 나간다면, 분명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화이팅합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탈릅하려니 5
시원섭섭
-
야근 싫다 1
구지 왜 그런지는 님들 상상에 맡김 ㅋ
-
탐구나 국어는 잘 모르겠는데 수학이 진짜 가능한거임? 물론 한두달은 말이 안되고...
-
3~7회차까지 풀었는데 왜이렇게 어렵지? 나만 그런거임?
-
1-1 복기 0
(나)입장에서 너뒤져도 혁명하는게 유전자명령임 ㅋㅋㅅㄱ (가)입장에서 시발...
-
연논 합격 7
좋아요 누르시면 연논 인문이든 수리든 다 합격합니다! 인문은 예비 3번받아도 합격~^^
-
모의고사 거의 매일 푸는데 실력이 정말 전혀 안 느네요
-
좌파스러운 글을 예전에 많이 쓰셨네…..
-
연습지 받자마자 수열 합 공식 적은 ㅂㅅ이 여기 있다?? 근데 경희 상경 수리가...
-
25분컷 44점!
-
징병됨? 발로도 브론즈 1인가 그러긴함 ㅇㅇ 참고로 옵치 시즌2부터함
-
외출할 맛 난다
-
연애 상담은 못해주는 오르비 아 ㅋㅋ
-
피곤하구뇨 3
깝휘한잔 따뜻하게 마시고 자야지
-
사이렌소리 들리면 ㄹㅇ 개ㅈ같겠네 더프 칠때도 사이렌 들리니까 몇분동안 스턴왔음
-
6~9 풀어봤는데 막전위 진짜 ㅈㄴ 어렵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