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찬우T가 문학 보기부터 보지말라 한다면서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91528
저 보기부터 보고 푸는데 보기 안 보면 뭐부터 보고 어떤 방식으로 푸는 거죠?
지금 시점에 커리 탈거란건 아니고 그냥 순수하게 궁금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서바 0
작년 서바중에서 풀어볼만한 회차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
경제학 공부할 만 하네요.
-
비상 초비상 벌써 고비가 으윽 집가서 칼바람 벅벅하다가 유튜브 보고 싶음 공부가...
-
일본이 너무좋다 15
공짜로 유럽&미국 여행이랑 일본 여행 중 어디 택할래 하면 한 치의 고민도 없이 후자 선택할 정도로
-
보편적으로 어떤지 궁금해서요
-
부엉이 1회 살펴보기 19
안녕하세요 행복부엉이입니다 다운 수 1000 넘은 기념으로 1회에 대해 다시...
-
이건아니지
-
시즌별로 외부생이 다른 사이트에서 구입할 수 있는 시즌이 뭐뭐 있나요?
-
사실 6평이랑 크게 관계없는거같긴한데 내일이면 N티켓 시즌2까지 끝나는데 공통N제...
-
후우.. 3
흠
-
[속보] 주미 이스라엘 대사관 직원 2명 워싱턴에서 총격 받아 사망 12
Breaking news
-
역사덕후가 간다
-
29번에서 20분 넘게 갈렸어!!!!!!!!!! 나머진 딸깍
-
ㅋㅋㅋ 아직도 작년이랑 기조가 비숫하네
-
아 제발 사기가 아니게 해주세요
-
이제는 나도 성불할 차례
-
보통 개념 몇바퀴도나요
-
간만에 100분 꽉꽉채운 시험 심지어 15번은 찍음 전반적으로 빡빡하고 개인적으로...
-
레전드네
-
Secx 2
김치찌개햄추가해서 공기밥2개 먹었
-
해킹범으로 추정되는 아저씨가 계속 셀카 올리길래 팔취 안 하고 구경중
-
돈 벌어야 된다고 시발
-
ㅁㅊ놈들이네
-
진짜 개좆같다 2
유튜브고 인스타고 토트넘 우승 계속 뜨네 씨발 맨유가 이렇게 공부하게 해주네
-
2026 지구과학1 평가원 6월 모의평가 대비 시험지 뿌립니다. 7
작년 2025학년도 수능 문제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해 보았습니다. -난이도:...
-
이 분을 음해하시면 잡아가겠습니다. 대신 이재명씨나 친명계 음해는 하셔도 됩니다. 아니 하십시오.
-
못가나요? 나이 ㅁ본다는맣잇던데
-
수학 버리고싶음 0
재수생이고 진짜 수학노베인데 그래도 하려고 맘 먹고 수1까진 개념강의를 다 들었는데...
-
흠 먹어보고싶었는데
-
조교하느라 국어 지문 매일 5-10개는 풀고 해설하는 것 같은데 거기에 수학 실모는...
-
Veo 3 미갈만 쓰는건 아쉽긴 한데 2.5 flash 완성해서 나온거 봐도 ㅍㅌ...
-
이 책은 뭐임? 6
하이퍼보다 더 어려운건가
-
춥고배고파 3
점심 먹었는데 이미
-
숭실 가다
-
수특->기출->수완하면 ㄱㅊ?
-
시우 VS 디아블
-
생1 컨 ㅊㅊ좀 4
어답터 끝냇는데 뭐풀지좀 ㅊㅊ좀 컨택트 좋나
-
2026 이감 시즌2-1 86점 1등급 킷타킷타
-
비 확률 60%라고 되어있는데 강수량은 0mm라뜸
-
현역에게 실모는 걍 n제인듯 ㅋㅋ
-
사설 수학 3
평가원 교육청 치면 80점 항상넘기는데 어제 더프 오늘 이투스치는데 점수가 덮72...
-
이채연 딱대 5
모고 쌓인거 다풀고 이긴다 진짜
-
뭐 더 먾이함?
-
육회덮밥 시킴 2
캬캬캬캬캬 먹고 출근해야지
-
정법 하나 고정이고 흠..윤리는 너무 안맞고 그렇다고 지리는 올해 난이도대비...
-
10x7 vs 14x5 12
일주일 공부 패턴 어느게 더 나음?
-
미래의 나에게 1
지금은 성적이 정말 좋지 않다 나중에 이 글을 수능이 끝나고 왔을때 연대 뱃지가...
-
국어 화작 88 수학 확통 84 둘다 보정 등급으로 1등급 될까요?
-
뭐가?
그냥 발문에적힌대로 다음 글을 읽고 감상한뒤에 문제푸는거죠
저도 보기부터 보고 푸는데 그냥 맘대로 해도 됨
애초에 취향 차이인거라
맞추기만 하면 장땡이지 뭐.. ㅋㅋ
문학 특성상
단순기억력이 뛰어난거 아니면
보기먼저 보고 푸는게 정배임
수강생인데 보기는 그 문제에서만 요구하는 새로운 감상의 틀을 말하는 거라고 하네요 다른문제에서는 그냥 읽는게 맞다고함
저는 그냥 이미 풀던거 귀찮아서 보기 안보고 푸는데 너무 어려우면 보기 보고 다시 읽어봐요
그냥 모든 시를 일관된 틀에 맞춰서 뚫어내는 연습을 1년동안 해요 그럼 ㅈㄴ 형이상학적인 시가 아닌 이상 승무 정도의 시는 보기 없이도 보기에서 요구하는 정보까지 한번에 뚫어낼 수 있음 그래서 전 웬만하면 ebs 분석 강의도 안봐요
감상 후에 문제풀고 <보기> 문제는 그 문제에서 제시한 새로운 감상의 틀에 따라 추가적으로 감상해보고 문제를 푸는거죠.
애초에 감상할 줄 모르면 <보기> 읽어도 뭔 소리 하는지 이해 못함;;
게다가 보기 읽는게 비일관적인 행위임 작년 모평처럼 보기 두 개 나오면 다 읽고 풀거..? 보기 없는 문제는 그럼 어떡하고..
보기 없으면 이해 못 한다는 말은 보기 없이 감상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ㅡㅡ
원래 보기 보고 풀었으면 그냥 그거 유지하심이...
원래 방식대로 가긴 할건데 정반대 방식이라 궁금했던거에요
과탐에서 선지 보고 자료 해석하는게 아니고 자료랑 문제 발문 상 물어볼 수 있을 것 같은 거 충분히 해석한 다음에 선지 판단하는거랑 비슷해요
문학 보기는 자료보다 선지에 가깝다고 보시나요?
네 아무래도 보기 자체는 그 문제 하나에만 적용이 되는거잖아요. 과탐으로 비유하자면 자료 = ㄱㄴㄷ 선지를 풀어나가는데 모두 영향을 줌, 반면 선지 = ㄱㄴ가 없다고 해서 ㄷ의 답을 구하지 못하지 않음 의 관계로 보시면 됩니다. 즉 보기가 모든 문제에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은 아니라는거죠. (만약에 그랬더라면 보기를 한 문제에만 할당하는 대신 지문에 포함시켜 제시했거나 보기를 2개 주는 등의 행위는 하지 않았을꺼라 생각합니다.)
저 그럼 궁금한게 있는데 보기가 여러개면 어떤 걸 읽으시나요? 윤흥길-직선과 곡선 지문은 보기 문제가 3개인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