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찬우T가 문학 보기부터 보지말라 한다면서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91528
저 보기부터 보고 푸는데 보기 안 보면 뭐부터 보고 어떤 방식으로 푸는 거죠?
지금 시점에 커리 탈거란건 아니고 그냥 순수하게 궁금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무물보 14
질문좀 해줘~~
-
하니 8
-
황당하네 ㄹㅇ 6
얼굴사진 보내줬는데 킹쁘긴한데 좀 쎄한 일진같아서 걍 차단함 뭐지 ㄹㅇ
-
공스타맞팔해요 15
저 부산사람아닌데맞팔거신 부산대분죄송해요 부산대도안다니고 부산사람도아닙니다 .....
-
마감당함 1
자러가라는거겠죠
-
흠 고민이네
-
무슨 예능만드는 사람들이라는데 사이비인줄알고 끝까지 의심했는데 아니었음 좋은 사람들이었던것같음
-
선넘질문받음뇨 12
답변은 제 맘대로 할거라 ㄱㅊ
-
딱 5년. 11
30살 쳐먹는 5년 뒤에도 변함없이 도태되어있으면 부엉이바위 가서 투신 라이브 켜야겠다
-
헤헤
-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시나요? 원하는 진로는 IB나 컨설팅펌인데 CFA를 준비해서...
-
장기 털리냐??ㅋㅋ 나 피드도 없고 하이라이트도 내렸는데 스토리도 얼굴나온거 별로 안올렸는데
-
ㅅㅂ좆됐네
-
확통 질문 1
같은 공 같은 그릇일뗀 안나오나요? 그리고 어떻게 구하나요?
-
한두명 제외하곤 내신만 해줬더니 별 생각 없이 문제집 난이도만 고민했는데 미안하다 애들아
-
개인시간에도 짬내서 공부하심?
-
실상은 별거 없음
-
난 자존감이 낮아져야하나 싶기도 하고 좀 이상해 한 게 아무 것도 없는데 뭐가 그렇게 기분이 좋지
-
26은 원래 응시예정 없었고 27수능만 고려중이었는데 입시에서 손 놓았더니 점점 안...
-
이런 집착은 개좋음 11
내 이상형인 여친이 이러면 개귀여울듯
-
전형태랑 너무 안맞음
-
저요
-
쪽지 보냇어요 0
확인 좀
-
아.
-
군대갔다와서 차 한대 뽑아야지...
-
241122 171819 가형 30이랑 비빌만 한듯 7
지금 미적 어려워서 어지간한 가형 30번급은 되나 171819는 성역마냥 동급이다란...
-
어차피 sm명함받은 의대생은 얼굴이며 머리며 스펙이 저희들보다 훨씬 뛰어나서...
-
책장 ㅇㅈ 2
하하..
-
똑같은 사진 넣어도 이럼 근데 40 위로는 절대 안 가는걸로 봐선 범위는 대충...
-
한의대 사1과1 3
한의대랑 약대 생각중인데 한의대때메 사2하려다가 약대는 과1사1 이 유리하대서...
-
어디 가버림 나홀로 남음 내가 줠라 올려도 아무도 안봐주겟지 슬프네
-
저는 수시로 넣으렵니다푸욱푸욱
-
아시발 2
실모존나어렵네 에휴
-
죽기싫어 3
그럼 죽어라니
-
군수 0
공군 vs 해군 전자병 뭐가 더 나음
-
수능 이지하다 2
찢어버려야지
-
알려죠
-
수능 어려우다 2
포기하ㄴ다
-
재밌는거 추천 좀 10
너무 심심함
-
발이 피곤하구나 마사지가 필요햐
-
취미 ㅇㅈ 5
아주 간단한 코딩하기
-
오렌지를 먹은지 3
얼마나 오렌지
-
건국대 학사정보시스템 쳤는데 글로컬만 쳐띄우고 있네
-
241122 이런 식으로 말하면 다 뭔지 아시나요 10
전 xx11xx 는 다 가능한데 xx06xx나 xx09xx는 한 절반 정도 아는듯
-
한 사람이 댓글 하나만 가능 옛날엣날에 오르비언이 살았어요
-
나의 인생을 나에게 맞추기
-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1143000004...
-
가형? 7
"B형."
-
상크스 듣고 있는데 그 스킬들을 외워야만 그래도 빨리 풀리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그냥 발문에적힌대로 다음 글을 읽고 감상한뒤에 문제푸는거죠
저도 보기부터 보고 푸는데 그냥 맘대로 해도 됨
애초에 취향 차이인거라
맞추기만 하면 장땡이지 뭐.. ㅋㅋ
문학 특성상
단순기억력이 뛰어난거 아니면
보기먼저 보고 푸는게 정배임
수강생인데 보기는 그 문제에서만 요구하는 새로운 감상의 틀을 말하는 거라고 하네요 다른문제에서는 그냥 읽는게 맞다고함
저는 그냥 이미 풀던거 귀찮아서 보기 안보고 푸는데 너무 어려우면 보기 보고 다시 읽어봐요
그냥 모든 시를 일관된 틀에 맞춰서 뚫어내는 연습을 1년동안 해요 그럼 ㅈㄴ 형이상학적인 시가 아닌 이상 승무 정도의 시는 보기 없이도 보기에서 요구하는 정보까지 한번에 뚫어낼 수 있음 그래서 전 웬만하면 ebs 분석 강의도 안봐요
감상 후에 문제풀고 <보기> 문제는 그 문제에서 제시한 새로운 감상의 틀에 따라 추가적으로 감상해보고 문제를 푸는거죠.
애초에 감상할 줄 모르면 <보기> 읽어도 뭔 소리 하는지 이해 못함;;
게다가 보기 읽는게 비일관적인 행위임 작년 모평처럼 보기 두 개 나오면 다 읽고 풀거..? 보기 없는 문제는 그럼 어떡하고..
보기 없으면 이해 못 한다는 말은 보기 없이 감상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ㅡㅡ
원래 보기 보고 풀었으면 그냥 그거 유지하심이...
원래 방식대로 가긴 할건데 정반대 방식이라 궁금했던거에요
과탐에서 선지 보고 자료 해석하는게 아니고 자료랑 문제 발문 상 물어볼 수 있을 것 같은 거 충분히 해석한 다음에 선지 판단하는거랑 비슷해요
문학 보기는 자료보다 선지에 가깝다고 보시나요?
네 아무래도 보기 자체는 그 문제 하나에만 적용이 되는거잖아요. 과탐으로 비유하자면 자료 = ㄱㄴㄷ 선지를 풀어나가는데 모두 영향을 줌, 반면 선지 = ㄱㄴ가 없다고 해서 ㄷ의 답을 구하지 못하지 않음 의 관계로 보시면 됩니다. 즉 보기가 모든 문제에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은 아니라는거죠. (만약에 그랬더라면 보기를 한 문제에만 할당하는 대신 지문에 포함시켜 제시했거나 보기를 2개 주는 등의 행위는 하지 않았을꺼라 생각합니다.)
저 그럼 궁금한게 있는데 보기가 여러개면 어떤 걸 읽으시나요? 윤흥길-직선과 곡선 지문은 보기 문제가 3개인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