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는 버리는 게 은근 중요한듯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91205
가령 22수능 카메라는 풀어서 7점 나가리 했다하고
브래턴 3점 틀려도
90점임
작수도 골목 안 적당히 버렸으면
최소 80 중후반임
특히 국어황들이 자꾸 완벽에 집착하는데
집착하다가 나락 가는 거 한 순간임 ㄹㅇ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호시노 루비가 하는짤 봤는데
-
전글참고
-
그런데 확통은 너무 어렵고 사탐은 사문 말고 할 게 없더라고요 결국 반강제 이과런!!
-
생윤황 형님들 44
칸트한테 준칙이랑 도덕법칙의 차이가 뭐에요?
-
오렌지에요
-
현장 이감 100은 처음인긴 한데... 9평 반영한건가
-
모래주머니가 달리고, 일부는 쇳덩어리가 달린 수많은 수학 실모의 홍수 속에서 무명...
-
안그래도 빈혈인데 쓸데없이 입술 뜯으면 그냥 피 콸콸 나옴.. 이거 뭐 어떻게...
-
ㄱㄱㄱㄱㄱ
-
ㄹㅇ 지금은 85 돼지고 ㅠ
-
16수 3
https://www.youtube.com/live/YFW7wumU1s0?feature=shared
-
물1은 왜이래요 고전역학 으으
-
사실 국어 현강으로 풀커리 듣는데 가끔 저런 느낌 받아서 현타왔거든요 위안을 얻을...
이거 보고 국어 버렸다
맞아요ㅋㅋㅋ근데 현장에서 내가 풀땐 이게 나만 어려운건지 나만 쉬운건지 구분이 안가니 과감하게 버리는게 쉽지않죠 특히나 국어는 포기하고 돌아오려고 하면 지문에대한 기억이 휘발되버리니까
예전에 누가 아니 수학은 어려운거 잘도 버리면서 국어는 왜 안 풀리면 못넘어가냐라는 말을 했었던 것 같아요.
번호로 특정이 안돼서 그런듯
명심하겠읍니더
단점: 물국어 만나면 4로 나락감
22때는 빡대가리라 이것도 버리고 저것도 버리고가 되던데
24때는 공부한 보상심리로 끌다가 ㅈ됨
근데 현장에선 난이도랑 컷을 알수없으니 다들 버리기에 주저하게 되는듯

저도 이게 무서움아직 교육청 평가원에서는 한 번도 버린 적 없긴 한데
사설에서는 보기 3점 하나 정도 (주로 과학 기술) 버리고 나머지 풀면
적당히 1등급 나오는데
그건 사설이 보통 1컷이 84 정도니 가능한거고
난이도도 모르고…
근데 대충 이제는
문제나 시험 운용 보면 감이 오지 않을까 싶음
버리는것은 이감으로 단련되어버린..
화작 40번 버리는거 어케 생각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