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고] 2024년 1학년 2학기 수학(하) 중간고사 손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76805
2024 신성고 1-2 중간.pdf
안녕하세요. 어수강 박사입니다.
오늘은
[신성고] 2024년 1학년 2학기 수학(하) 중간고사 손풀이!
를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성고는 일반고임에도 서울대 및 의치한의대 진학율이 높은 학교로 유명합니다. 그만큼 시험 문제도 까다롭게 출제될 때가 많겠죠? 신성고 학생이 아니더라도 기출 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공부에 크게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PS. 2024 신성고 시험 문제에 2023 신성고 시험 문제와 똑같은 문제는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24 신성고 시험 문제 중10번, 11번, 12번 문항은 2023 부흥고, 인덕원고, 대진고 문제와 본질적 똑같은 문항이 출제되었어요!!
신성고 기출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2024년에 시행된 내신 기출 문제 중, 다른 학교의 2023년 기출과 본질적으로 같은 문항이 출제되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1. 고난도 문항을 모두 직접 출제하기보다 모의고사 및 문제집에서 살짝 변형해서 출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2. 시험을 출제하시는 선생님들께서 모의고사 또는 문제집에서 "좋다"고 생각하는 문제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22년 10월 고1 모의고사의 문제 중 21번과 30번 문항이 "좋은 문항"이라고 했을 때,
[2023년] 2022년 10월 고1 모의고사에서 21번은 신성고에 출제, 30번은 외대부고에 출제되었다고 가정해볼게요!
[2024년] 2022년 10월 고1 모의고사의 21번 문항이 신성고에 다시 출제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하지만 외대부고에는 충분히 출제될 수 있겠죠? 반대로 30번 문항이 외대부고에 출제될 일은 없겠지만, 신성고에 출제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험기간에도 다양한 학교의 기출 문제를 분석해주었고, 이번 신성고 시험에서도 수업에서 다룬 문제와 본질적으로 똑같은 문항이 다수 출제되었습니다!
그럼 이제 신성고 시험 문제와 손풀이를 보러 갈까요? 학생이라면 풀이를 보기 전에 시험지를 다운로드해서 먼저 풀어볼 것을 권장합니다.
역시나 1 페이지는 무척 쉽습니다.
2 페이지도 무척 쉽습니다.
[6번 문항] ㄷ을 참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정의역과 공역의 원소 개수가 1인 경우 일대일대응일 뿐 아니라 상수함수가 된다는 사실에 주의해야 합니다. (상수함수의 정의가 치역의 원소 개수가 1인 함수이므로, ㄷ을 "일대일대응이면 치역의 원소가 2개 이상인가?"로 바꾸어 보면 쉽게 풀 수 있겠죠?)
이제 3 페이지를 볼까요? 9번까지는 무척 쉬운 문제인데, 10번부터 난이도가 급상승합니다...!!
그런데 10번은 "[부흥고] 2023년 1학년 2학기 수학(하) 중간고사 19번"과 본질적으로 같은 문항이고, 11번은 "[인덕원고] 2023년 1학년 2학기 수학(하) 중간고사 논술형 2번"과 같습니다. 12번은 "[대진고] 2023년 1학년 2학기 수학(하) 중간고사 18번"과 같은 문항입니다.
위 시험지를 풀어본 학생이라면, 난이도가 급상승하는 3 페이지를 무척 쉽게 클리어할 수 있었겠죠? :)
[10번 문항]
1. 두 집합 A, B를 동시에 생각하기 어려우면? 하나씩!!
2. 집합 A를 생각할 때, x(y-k)=32에서 x, y-k를 동시에 생각하기 어려우면? 하나씩!!
10번은 고난도 문항이지만, 수업시간에 늘 강조하는 "여러 가지를 동시에? 어려우면 하나씩! (feat. 여. 동. 어. 하)"만 잘 지키면 무난하게 풀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11번 문항] 등호가 나오면 방정식인지 항등식인지 생각해 봐야겠죠? 문제에 주어진 등식은
1. x의 항등식
2. g(x)의 방정식
입니다. 이때, a의 값을 구하는 것이 g(x)를 구하는 것과 같으므로 g(x)에 대한 방정식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겠죠?
그럼 g(x)에 대한 어떤 방정식일까요? 이차방정식이므로 인수분해해서 풀면 됩니다! 이때, 저는 그래프를 이용해서 풀었지만
g(x)=x, g(x)=4-x를 동시에? 어려우면 하나씩!! (feat. 여. 동. 어. 하)
을 이용하여 대수적으로 풀어도 쉽게 풀 수 있습니다!
[12번 문항]
1. 알파, 베타를 동시에? 어려우면 하나씩! (feat. 여. 동. 어. 하)
2. 이때 당연히 교집합의 원소인 알파를 먼저 생각하는게 좋겠죠?
그 후에 그래프의 개형을 이용하면, 기본기가 튼튼한 학생들은 무난하게 풀 수 있었을거라 생각합니다.
다음은 4 페이지입니다.
[13번 문항], [14번 문항]은 기본적인 문항이지만 꽤 복잡하게 내서 체감난도가 높지만, 그냥 늘 하던데로 풀면 됩니다!
[15번 문항]은 2022년 11월에 시행된 고1 모의고사 21번 문항의 변형 문항입니다. 모의고사에선 "일대일 함수이면서 공역과 치역이 같도록"이었던 것을 신성고에서는 "일대일 함수"라는 조건을 빼고, "공역과 치역이 같도록"으로 조건을 바꾸었네요!
1. 먼저 "공역=치역"과 필요충분조건인 것 중에서 풀기 쉬운 것으로 바꾸어줍니다! (아래의 박스친 부분!)
2. f(x), g(x+a)를 동시에? 어려우면 하나씩!(여. 동. 어. 하)
그럼 다음과 같이 간단히 풀 수 있겠죠?
이제 마지막 페이지를 볼까요?
[18번=논술형 3번 문항] 절댓값은 0 이상이므로 a의 값의 범위를 3 이하, 4, 4 이상으로 나누어 풀면 되겠죠?
[19번 문항]
1. 주어진 조건을 다음과 같이 식으로 나타내면 흔한 문제가 됩니다!
2. f(f(a))=f(a)에서 여러 개의 f(a)를 동시에 생각? 어려우면 하나씩!! (feat. 여. 동. 어. 하) f(a)=t로 치환하고 풀면 간단히 해결할 수 있겠습니다!
[20번 문항] A, B, C를 동시에? 어려우면 하나씩! (feat. 여. 동. 어. 하)
당연히 아는 것! A, C에서 정보를 얻은 후에, 이를 바탕으로 B에 대해 알아내면 되겠죠? 필요충분조건을 찾으면 풀이에서와 같이 연립부등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때, a, b를 동시에? 어려우면 하나씩!! 이때,
1. 저는 b만 문자로 보고, b에 대한 연립부등식을 풀고 (feat. 여. 동. 어. 하)
2. 그 다음 b를 제외하고, a에 대한 부등식을 풀어서 a의 범위를 알아냈습니다! (feat. 여. 동. 어. 하)
3. 범위 내에서 a의 값을 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b의 값을 알아내면 되겠죠? (feat. 여. 동. 어. 하)
20번 문항이 학생들에게 다소 생소한 형태의 문항이라, 문제와 풀이를 유형화한 학생들은 시험에서 크게 당황해서 제대로 풀지 못할 가능성이 높지만, 기본기가 튼튼한 학생! "여. 동. 어. 하"를 체득한 학생이라면 무난하게 풀 수 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신성고] 2024년 1학년 2학기 수학(하) 중간고사 손풀이!
를 알아보았습니다.
9번까진 아주 기초적인 문항이고, 객관식 10번부터 15번까지 6문항이 고난도 문항인데, 이중 10, 11, 12번은 타 학교의 전년도 기출문항과 본질적으로 같고, 15번 또한 모의고사에서 조건 하나를 변형한 문항이었습니다. (13번, 14번도 제가 알지는 못하지만, 모의고사나 시중의 문제집, 또는 타학교의 기출문제와 본질적으로 같은 문항일 수도 있습니다.)
타 학교 기출문제를 푸는 것이 시간 낭비인 것은 아니란 것을 알 수 있죠? 하지만 아무리 많은 문제를 풀었다 하더라도, 문제와 그 풀이를 유형화해서 기계적으로 공부했을 경우, 15번 문항에서와 같이 조건 하나만 바꾸어도 시험에서 제대로 풀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신성고와 같이 실력이 뛰어난 학생들이 많은 학교에서는 상위권과 최상위권을 변별하기 위한 문제는 (모의고사나 문제집의 고난도 문항을 단순 변형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생소한 유형의 문제를 선생님들께서 자체 제작해서 출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는 모의고사 및 시중 문제를 기계적으로 유형화해서 공부한 학생들을 걸러내기 위해서겠죠? 문제와 그 풀이를 유형화해서 기계적으로 공부했다면 이런 문제는 제대로 풀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니 항상 기본에 충실하기 바랍니다!! (예를 들면, 여. 동. 어. 하!)
다음은 공부에 도움이 될 만한 링크입니다.
1. 거의 모든 고난도 문항에 즉각 적용 가능한 치트키 1 : https://orbi.kr/00062136893 (feat. 여. 동. 어. 하!!)
2. 거의 모든 고난도 문항에 즉각 적용 가능한 치트키 2 : https://orbi.kr/00062194726
3. 문자의 개수 vs 식의 개수 (feat. 연세대) : https://orbi.kr/0006449777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떻게 하는건가요ㅠㅠ? 인강 듣고 수특 풀고 작품내용 정리하면 될까요? 그리고...
-
미적 0
내신 2차 1등인데 최종 2등급임 꼭지가 돈다 이말이야
-
이명학 신택스 0
만 듣고 김지영 올인원 해도됨?
-
선택과목이 너무 고민돼요 지구를 했어서 지리는 고정으로 하려고하는데 ㅠㅠㅠ...
-
궁금한거 있음. 1
작수 때 카페인 먹었다가 정답률 박살나서 올해는 카페인 안 먹고 들어갈 생각인데 얼마나 커피 먹음?
-
약간 조미료맛 안나고 은은하게 맛 나서 ㅅㅌㅊ
-
수2는 이제 한세트 모르는거 0~2개 제외 다풀수있고 수1은... 개어려운듯 거의...
-
변별력 갖춰야하니 그범위안에서 더어려워지려나 아님 어차피 내신많이볼거니까 미적도빠지고 더쉬워지려나
-
유튜브 댓글 좋아요 수만 봐도 다더해서 자꾸 3의 배수인지 확인함뇨..
-
티황
-
아래 사진에 7,8번이 풀다가 뭔가 이쪽인가? 하는 방향으로 식 써봤더니 너무...
-
내 운명이다 0
이게 내 길이다
-
맨 앞에있는 한석원 선생님의 글 보고 감동받으면서 시작하게됨
-
3-1 중간 100 기말 100 수행 100 3-2 중간 100 기말 100 수행 100 ㅁㅌㅊ?
-
미분가능한 함수에서 동점2개인 미분계수는 기하적 의미로만 처리할 수 있다요? 원래...
-
공부하기 싫을때 그냥 도서관에서 책하나 빌려서 읽으면 독해력 오름. 간혹...
-
주작 아닌 진짜 6평 성적표로 대학라인좀 잡아주세요 4
메가에서는 국민대 공대,문과 최초에서 추합 숭실대 공대,문과 최초합 텔그에선 국민대...
-
독재에서 더프보거나 독서실에서 실모풀면 2등급 아래로 안 내려가는데 6모는 4등급...
-
나도 반수나할까 4
계대 탈출하고싶은데 막상 하자니 귀찮노
-
이게 식변형하는 게 상당히 어려움 기준 잡는 걸 계속 공부 중인데 아직 빡세네
-
안녕하세요!! 김O수 선생님 밑에서 문항 제작을 담당하고 있는 MATHEDGE 수학...
-
언매97 확통92 영3 사문47 정법45
-
0. 표본 (표본수준 상승) 현역 괴수 + N수생 + 반수생을 상대해야 한다....
-
갠적으로 241122>220522>231122 통합이후 3대장
-
스나이퍼 후기 1
6평 성적입니다 순서대로 고 연 서 인데 많이 아쉽네요 9평 수능은 쭉...
-
미적 놓친 개념 같은 거 확인하는 용으로 환완수 좋나요? 아니면 그냥 개념원리...
-
싱어는 인간과 쾌고감수능력이 있는 동물은 도덕적 고려, 도덕적 지위(권리)가 있다고...
-
2028수능은 지금수능기출이랑 많이다른가? 그럼지금 기출푸는게 2028에도도움이되나...
-
수2 자작 1
난이도는 중-중상 정도인 것 같습니다. 이 문제도 내신 유형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
27번은 분명 닮음 딸깍 방법 있는데 당장 생각안나서 식으로 밀기 29번은 직선...
-
기코 위상이 언제이렇게 떨어뎠냐
-
2306 4등급 백분위 7x 2309 4등급 백분위 62? (거의 준 5등급)...
-
궁금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사람은 아침이라 없었는데 존나 신나는 팝송 크게 틀어놔서 좀 힘들었다.... 어려운...
-
그가 색을 칠한곳은 종이 뿐이 아니었다. 그것을 바라보는 이들의 모든 눈에 그 색이...
-
스나이퍼 후기 0
저 [학과 목록] 위에 무슨 대학인지도 나오면 좋을 것 같아요! 로고를 붙인다든지...
-
어떻게 티원은 1
msi만 가면 귀신같이 떡락하냐
-
6평 ㅇㅈ 2
화작만백 97.. 1컷 6점차이난다는데 진짠가요
-
일어나보니 스카에 사람이 엄청많아졌군
-
점바점 심하다는데 어떤가요??
-
아니씨발 세스코 불러서 서랍장에 오나홀딜도 다숨겼는데 5
그거 열어서 약놓고가네 직원 표정이ㅅㅂ
-
설자전 cc 4
이 성적에서 생윤까지 만점으로 점수 올리면 cc맞고도 설자전이나 설학부 합격할 수 있나요??
-
수특수완 1
6모 9모에서 이미 나온 문학 연계 작품은 공부 안 해도 되나요?
-
주 1회 4시간 or 주 2회 2시간이면 부족할까요? 숙제 푼 거 가져와서 오답 및...
-
불편함 그냥
-
더 잘껄 0
씨앙
-
지는 거에요? 7
T1 바텀 라인전 밀리는 건 또 신기하네
-
패자조로 가십쇼..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