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미분가능성은 있는데 적분가능성은 없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62639
안녕하세요. 요즘 뻘글만 주야장천 써대는 신창섭입니다. 오르비는 원래 수험생들 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지식을 나누는 곳이죠. 물론 커뮤니티의 성격이 존재하는 한 어쩔 수 없이 그런 글들이 가끔은 묻히는 모습을 보곤 합니다. 문득 해석학 과제를 하다가 정말 오랜만에 칼럼을 하나 작성하고 싶어져서 칼럼을 작성합니다. 주제는 앞서 말했듯이 '적분가능성', 그 중에서도 다르부 적분에 대한 조금은 심오한 얘기와 르베그 적분에 대한 짧은 이야기입니다.
'미분이 가능한 함수는 어떤 함수인지 잘 알겠는데... 적분이 가능한 함수는 어떤 함수야? 그리고 수학자마다 적분에 대한 정의가 달라?'하고 당연히 반문하실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미분을 배울 때는 '오일러 미분가능성'(한 예시일 뿐이지 실제로 이런 이름으로 된 정의는 없습니다...) 뭐 이런 이름으로 배우진 않았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미적분을 하셨던 분들이라면 얼핏 들어보셨을 법한 단어가 하나 있으실 겁니다.바로 리만이라는 사람이죠. 대부분 이 리만이라는 사람을 처음 접하게 되는 건 구분구적법을 배울 때일 겁니다. 구획을 나눠 아주 작은 직사각형의 합으로 적분을 표현한다. 오늘은 이에 대한 얘기를 깊게 해보고자 합니다.
*적분가능성에 대한 얘기는 현재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설명이 불가능한 개념들이 존재하는 엄연한 교과 외 과정입니다. 이 점 참고하시면서 글을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supremum과 infimum 등 적분가능성을 표현함에 있어서 필요한 단어들은 엄밀한 정의 대신 이해하기 쉬운 단어들로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대중들에게 적분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알려진 수학자는 아마 리만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리만적분에 대한 얘기는 미적분을 배울 때도 심심찮게 들을 수 있는 이름이니까요. 제가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Manfred Stoll의 해석학 책 chapter 6의 제목도 'Riemann, Riemann-stieltjes integral'이니까요. 하지만 정작 내용은 리만이 아닌 다른 사람이 제시한 적분가능성의 얘기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리만이 아닌 'Darboux(다르부) integral' 얘기를 먼저 해보겠습니다.
다르부 적분을 이해하기 위해선 우선 Upper sum(상합)과 lower sum(하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구분구적법을 통해 그래프의 밑부분의 넓이를 작은 직사각형들의 넓이의 합으로써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듭니다. "직사각형의 높이는 어디를 기준으로 하지?". 굉장히 날카로운 질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직사각형의 밑변을 계속 얇게 쪼개고 쪼개서 길이가 거의 0에 가깝도록 만들면 그 때의 함숫값이 곧 높이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굉장히 비수학적인 용어입니다. 엄밀한 수학에서 가장 싫어하는 표현이 바로 '거의', '~에 가깝게'라는 말들이죠. 하지만 오늘은 수학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들에게 설명하는 글인 만큼 적분이라는 친구를 '얼추' 엄밀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말한 높이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쉬운 그림을 하나 가져왔습니다. 지금 f(x)라는 함수와 직사각형의 높이는 한 직사각형 맨 오른쪽에 있는 점의 함숫값으로 잡았습니다. 즉, 가장 큰 직사각형의 높이가 f(1)이라는 의미죠. 그런데 만약 구간 [0,1]을 {0=x_0, x_1, ... , x_n=1}으로 (n+1)개로 쪼갠 다음 한 구간 [x_(i-1), x_i]에서의 높이를 오른쪽 끝인 f(x_i)가 아닌 왼쪽 끝인 f(x_(i-1))로 두면 어떻게 될까요? 오른쪽 그림과는 다르게 직사각형들의 높이가 조금씩 낮아지는 상황이 이해가 가실까요? 그러면 둘 중 어느 것이 맞는 넓이일까요? 혹은 다른 그래프일 때도 같은 얘기를 할 수 있을까요?
한 단계 더 나아간 함수로 가져와 봤습니다. 위 함수는 한 점에서만 값이 튀는 함수고, 밑은 x=1/2에서 불연속인 함수이죠. 우리는 이 함수들을 적분할 수 있을까요? 만약 가능하다면 그 값은 얼마일까요?
우리는 그러기 위해 몇 가지를 먼저 정의하고 가야합니다.
벌써부터 처음 보는 표현이 나왔습니다. sup, inf에 대한 의미를 어느정도 파악하고 가봐야겠습니다. sup은 supremum의 약자로 번역서에는 '상한'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합니다. inf(infimum)은 이에 상반되는 개념으로 번역서에서는 '하한'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최댓값과 최솟값의 개념과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죠. 하지만 미묘하게 이들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예시를 보시죠.
이 함수의 구간 [-0.1, 0.1]에서의 최솟값과 구간 [0.9, 1.1]에서의 최댓값을 구하라 한다면 여러분은 구할 수 있으십니까? 우리는 x=0에서의 f(x)의 좌극한과 f(x)의 x=1에서의 극한값을 각각 최댓값, 최솟값이라 부르고 싶습니다. 하지만 그럴 수 없다는 것을 모두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이때 필요한 개념이 supremum과 infimum입니다.
다시 이 개념을 가져와보겠습니다. M_i는 어떤 특정 구간에서 f(x)의 함숫값들을 모아놓은 집합의 상한, m_i는 그 집합의 하한을 의미합니다. 상한과 하한은 결국 '이 집합의 원소가 위와 밑으로 끽해야 어디까지 도달할 수 있겠느냐'에 대한 얘기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정의를 가지고 바로 위에서 다뤘던 범위에서 f(x)의 m_i와 M_i를 관찰해보면 이제는 각각 0과 2라고 말할 수 있다는 걸 느끼실 겁니다.
그러면 이 개념을 적분과 어떻게 연관지을까요? 방금까지 우리가 얘기한 M_i, m_i는 결국 특정점에서의 높이(i.e. 함숫값)의 최대와 최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맨 처음에 말한 저 증가함수에서 직사각형의 높이를 왼쪽, 오른쪽 끝 중 어디로 잡을 것이냐와 같은 얘기가 된 것이죠. 이 표현을 통해 직사각형의 넓이들 역시 표현해낼 수 있습니다.
upper sum과 lower sum은 어떤 partition P에 대해 각각 높이가 최대일 때와 최소일 때 그 높이와 구간의 길이(delta(x_i))를 곱해서 구한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입니다. 번역서에서는 각각 상합과 하합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들과 적분가능성의 관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상황을 한 번 생각해봅시다. P는 우리가 임의의 partition(분할)이라고 가정했으니 우리는 이 분할을 더욱 얇고 미세하게 쪼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만든 partition을 P*라고 해보죠. 그러면 바뀐 partition에 대한 upper sum, lower sum의 값은 각각 어떻게 바뀔까요? 우리는 여기서 L(P,f)<=L(P*,f) & U(P*,f)<=U(P,f)임을 생각해낼 수 있습니다. 세부 구간을 더 잘게 쪼갠다는 건 특정 구간의 최댓값은 더 작아질 수 있고, 최솟값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임의의 partition P에 대해 L(P,f)<=U(P,f)가 성립하니 lower sum이 upper sum보다 더 커질 일은 없다는 것까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결국 적분이 가능한 상황은 어떤 상황이 될까요? partition을 매우매우 잘게 쪼개서 거의 모든 쪼개진 구간의 길이가 0이 되도록 한다면 lower sum의 최댓값과 upper sum의 최댓값이 같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러면 그때 적분이 가능하다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생각이 바로 다르부 적분의 핵심입니다.
이 definition이 다르부 적분에서 필요한 개념의 마지막입니다. upper sum의 최솟값은 결국 upper sum들을 모두 모아놓은 집합의 '하한', infimum을 말하는 것이고, lower sum의 최댓값은 lower sum의 집합의 supremum을 말하는 것입니다. 표현은 저렇게 적분 기호의 위 아래에 bar를 하나 긋는 것으로 쓰며, 각각 상적분과 하적분으로 번역합니다.
만약 upper integral = lower integral이라면 그때 우리는 f라는 함수가 적분가능, integrable하다고 합니다.
아래는 실제 계산 예제입니다. 불연속 함수의 적분이 가능한 이유를 우리는 적분가능성을 통해 알 수 있지만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점까지 설명해주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죠. 이 함수의 0에서 1까지의 적분값이 1/2이라는 건 바로 유추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굉장히 엄밀한 과정이 숨어 있습니다.
적분가능성은 해석학 뒷부분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는 uniformly convergence(균등수렴)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개념입니다. 오히려 미분가능성보다 활용가치가 더 넓고,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죠.
Extra)
이 함수는 Thomae function(토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굉장히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무리수점에서 연속이지만 유리수점에서는 불연속이고, 구간 [0,1]에서 다르부 적분 가능한 함수입니다. 어떻게 이 함수는 이런 성질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이 함수는 적분가능한지 증명할 수 있을까요? 그것은 '르베그 정리'와 '측도' 개념에서 자세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만... 그 개념들은 수학과 학부 4학년 때 배우는 실해석학 부분에서나 들을 수 있는 얘기이기 때문에 이런 함수가 있다~ 정도로 오늘 칼럼은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같은 "경제"니까 할만하지 않을까
-
편의점 야간할때 0
검수기기 안쓰는곳은 힘듦
-
지1 작수 1이라 지구는 고정해두고 남은 한개를 골라야하는데 굳이 1까지도 필요없고...
-
악 0
역시 옷쇼핑이 최고네 으흐흫 너무 좋다 행복해 미치겟다 힘들때 옷쇼핑이나 하러 다녀야겟다
-
상식퀴즈 ㅇㅈ 1
50개 중에 절반도 못 맞혔는데 꽤 높네...
-
F(x)-3 절댓값한거 -3 기준으로 x축 잡고 왜 안풀리냐고 ㅈㄹ발광을 30분동안...
-
노베에서 3등급 0
아는 동생이 작수 5등급의 완전 노베라고합니다.. 이번에 재수해서 3등급만...
-
시발 ㅋㅋㅋㅋㅋㅋㅋ 종합 상식퀴즈 2 - 마추기 아이오
-
강의 들으면서 재밌다고 느낀건 오지훈 이후로 처음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오늘은 조녜여르비 ㅇㅈ이 보고싶네요...
-
공부 못하겠다 0
오늘 더이상 할 체력이안됨...
-
상식 퀴즈 4
하나 더 맞혓는데,, 영어로 바꿔놓은거 그대로 쳐서 날아감..
-
파리vs버풀 파리도 폼 상승세고 리버풀 박고있는것도 알긴 하는데... 그래도 버풀...
-
1등급 형님덜~ 9
수학 기출 문제집 사려고 하는데 양 적당하고 괜찮은 거 추천해주십쇼~~ 마플시너지...
-
캬
-
설의 붙으면 설뱃 의뱃 둘 다 나옴?
-
급식맛없는 고등학교를 나오기 ㄹㅇ
-
25수능 직업탐구 상업경제 풀어보시고 난이도에 대해 얘기해주실 수 있나요
-
과기대 있던데
-
수학 인강 추천 0
일단 지금 대성패스 밖에 없긴한데 대성에서 정 맞는 선생님 못고르면 어차피 메가도...
-
나같은 저능아는 수특으로 공부하다가 머리털 빠지겠다 강의 재밌네 경제 왤케 재밌냐...
-
갠적으로 과외보다 이게 더 꿀임 시급 12000원에 주휴까지 받고 하루 9시간...
-
[칼럼]2. 우물 안 개구리는 바다를 말할 수 없다(부제: 국어공부와 시간관리) 3
안녕하세요 한달뒤는입니다. 독감에 걸려서 다음 글 작성이 생각보다 너무...
-
뭐 먹를까요
-
요아소비-舞台に立って(무대에 서서), 도쿄돔 라이브
-
계절 열리나요?
-
이제 싸우세요 좋아요하나 눌러주시고
-
초비상 0
또 8등각 집행자 이제 보내줘야겠다
-
리트 표점 계산 2
알려주실분 언어 22/30 추리 37/40
-
그건 듣고싶은 강의 수강신청하고 휴학을하던 알바를하던 마이웨이하는 일반대학에서나...
-
정법 어때요 6
물리에서 런치게되면 정벚할까싶음
-
19, 22 수능은 평가원 최악의 시험임. 17, 25는 성공적으로 잘만든...
-
밥 잘 챙겨먹고 화이팅하자 올해 성불해야지 몸 건강하고 항상 행복해라 오르비는...
-
인셉션 문학 새거 사야겠다 ㅈㄴ 재밌어보이네 ㅋㅋㅋ
-
슈능 265일 남았다 미친 지금 고등수학 시발점 우ㅏ크북도 버벅 거리는데 265??...
-
쪼개기 알바도 정도가 있지 주휴수당 주기싫다고 하루에 2시간반만 일하래서 걍 그만둠...
-
베인 상처가 생겼어요
-
넵
-
개추개추
-
해줘!
-
제가 내신 점수가 낮아서... 대학을 정시로만 갈 수 있는 상태입니다. 수시로는...
-
좀 많이 기네 진짜
-
새터가면 장기자랑 시키나요? ,;;;
-
1/5의 정답률 개어려움......
-
ㅜㅜㅜㅜㅜㅜㅜㅜㅜ 주먹빱이랑 막국수도 ㅜㅜㅜㅜ 글고 원할매보쌈도 먹고싶음
-
하나씩 따라해봐야지
-
동국대 경영 포기하고 세종대 공대 왔는데 옳은 선택 한걸까요;
-
ㄹㅇ 시대를 잘못태어났음 시발
불연속 함수도 웬만해선 적분이 가능하다는 걸 생각해보면... 정말 신기하다는 걸 알 수 있죠
선댓후감
♡

수학과 바이럴 ㄷㄷ대창섭
최진우! 최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