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중세국어 이야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44970
중세국어에서 상성의 성조를 가진 단어는 음절이 축약되면서 형성되었다.
그래서 '내ㅎ(川)', '뉘', '뒤ㅎ'는 각각 '나리', '누리', '두리'에서 변한 형태이다. 이 경우는 소위 r>y라고 불리는 ㄹ의 탈락으로 인한 반모음화 현상의 예시다.
또 '둘', '괴(고양이)' 등은 '두을(<두ᄫᅳᆯ<두블)', '고니'에서 온 말로 이들 역시 2음절이 단음절로 축약되면서 상성이 되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1 N제 0
10월 안에 끝낼수 있는 중상급 정도의 생1 n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
얼버기해서 참 감사합니다. 월요일도 화이팅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해서 감사합니다.
-
하
-
메모리 개 많이 잡아먹어서 안쓴다는데
-
독서 문학 어떻게 출제되는가? 이거 안들었는데 ㄱㅊ?
-
ㄹㅈㄷㅇㅂㄱ 3
-
그렇게 좋나요???
-
수학 질문 0
수학 3인데 1받고싶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미적을하는데 27번까지는 맞추고 28...
-
작년 이맘때쯤 1
400일 남았으니까 하루 1점씩 올라면 수능만점이라 말하고다녔는대 여태 1점은 올랐나 ..?
-
고2들아 0
너넨 과탐하지마라..
-
뒷자리사람한테 2023 수능샤프 빌림
-
수능 수학 11
예상하는 난이도는 얼마인가요? 딱 올해 6모 난이도만큼 나왔으면 좋겠는데 그러면...
-
난이도 어느정도인지 아시는분...?
-
공 문제 말고 다른문제는 쉽지않음?
-
빡세네..
-
멋진 가을옷 코디를 18
알아서 해줬으면 좋겠다 여러분들은 옷 어디서 사셔요..!
재미없어요
헉
두블.. double..??
가짜 동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