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중세국어 이야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44970
중세국어에서 상성의 성조를 가진 단어는 음절이 축약되면서 형성되었다.
그래서 '내ㅎ(川)', '뉘', '뒤ㅎ'는 각각 '나리', '누리', '두리'에서 변한 형태이다. 이 경우는 소위 r>y라고 불리는 ㄹ의 탈락으로 인한 반모음화 현상의 예시다.
또 '둘', '괴(고양이)' 등은 '두을(<두ᄫᅳᆯ<두블)', '고니'에서 온 말로 이들 역시 2음절이 단음절로 축약되면서 상성이 되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발 어렵다고 해줘요...
-
윤카가 재임하는 동안 수능에서는 경제 못냄
-
엄마 아빠는 진짜 나 입시 말고는 다른 관심사도 없고 나 잘되라고 사소한거...
-
∀x∃x(x∈A∪A^c) 는 참 모든 x에 대해 A 또는 A^c에 속하는 x가...
-
수능 가까워질수록 더 재밌어짐 ㅋㅋ 탈르비 결심은 맨날 하는데 모아보기 누르면 그대로 까먹음
-
ㄷㄷㄷ
-
9모 성적표 1
재수생이고 학교에서 봤습니다 부모님이 대리수령 하는거 불가능하지 않나요?
-
성적표 아직 못받았는데 이점수면 백분위 어케되는지 좀 1
화작 미적 92 88 어케된건가요
-
백분위 몇 뜨나요?
-
디스차지!
-
국어 1컷 97이 정상적인건 아니라고 보는데.....짜피 수능때는 무조건 어렵게...
-
71점 하… 화딱지 나네요 실모 하나 더 풀어버릴까
-
성적 계산기 : 크럭스 테이블 계산기 (suneungcalc.com) 모의고사 성적...
-
시대라 질문 4
내년에 강기원t, 현정훈t 들을거면 이정도는 미리 해놔라 하는게 있을까요??
재미없어요
헉
두블.. double..??
가짜 동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