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황 도와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40894
소피스트가
공동체에서 통용되는 관습이나 규범이 도덕 판단의 중요한 원리라는 것을 주장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ㅠㅠ
애초에 문장이 너무 추상적으로 다가와서 이해를 못했고 소피스트는 상대주의적 입장인데 왜 그러지? 라는 생각만 계속 드네요..
설명 부탁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 또 일본군 성범죄 피해자분께서 별세하셨습니다. 반 세기 넘도록 엄청난 적과...
-
분명 재수 시작할 때는 의대였는데
-
공하싫 1
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싫공하...
-
20번 맞는줄 알았는데 허허
-
6모 33451 (화미화1생1) 9모 44414(화1 -> 사문) (화미사생1)...
-
님 몇 살임?? 5
저 ㅈㄴ 빠른 03임
-
목표는 안정 1입니다 현역인데, 여태까지 쭉 1이었다가 6모 83이 나옴..
-
살려주셈 장염걸령나봐 지금 일어나서 똥3번쌈 ㅆㅂ
-
[속보] 교육부, '내년 1학기 복귀' 조건부 휴학 승인 3
[데일리안 = 이정희 기자] 교육부, '내년 1학기 복귀' 조건부 휴학 승인
-
걍 개무섭다
-
나는 개인적으로 군대에 대한 반감이 심함. 일단 군대에 있는 장교랑 부사관들 다...
-
A와 B의 y좌표 차이로 미지수를 구하려고 하는데, 여기서 계산 어떻게 하죠? 만약...
-
평가원이 1컷이 100인걸 보고도 그 난이도로 출제하는 ㅁㅊ놈은 아닐거 아니야
-
아직까지 ebs수특 수완 안 풀었는데요 지금이라도 ebs 사서 몰아쳐서 풀까요?...
-
15번 1번 [분묘 기저권은 관습법에 의거하여 취득한 법정 지상권을 포함하지는 않는...
-
외국으로 국제학교 갈 여력이 된다면 무조건 가는게 이득인가요??
-
흐
-
에센셜 이니셜은 어떤포지션의 강좌인가요? 커리안내에도 안나와있던데 개념강좌인포인트나...
-
생윤입니다 사탐 늦게 시작해서 이제 개념 다 끝냈는데 기출 어떤거 하는게 가장...
chat gpt 답변
소피스트들은 공동체에서 통용되는 관습이나 규범이 도덕 판단의 중요한 원리라고 주장하는 이유는 그들이 진리나 도덕이 보편적이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소피스트들은 인간의 인식과 판단이 상대적이라고 생각했고,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는 진리나 도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대신, 도덕적 판단이나 규범은 각 사회나 공동체의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았죠.
따라서 소피스트들은 도덕적 원리가 특정한 공동체 내에서 만들어지고 유지되는 관습과 규범에서 나온다고 보았습니다. 이런 관습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공동체의 규범을 따르는 것이 도덕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웬만한 건 chat gpt가 다 알려줘요 활용해보시길
챗 지피티가 윤리과목 대답을 너—-무 못 하더라고요
너무 당당하게 틀린말해서 이제 안 써요ㅠㅠ
프로타고라스 : 관습이나 규범이 도덕 판단에서 중요함
고르기아스, 트라시마코스 : 전통적인 도덕이나 관습을 비판적
지피티 질문을 추상적으로 하면 헛소리 답변하고, 근거와 함께 구체적으로 물어보면 나름 정확하게 알려줘요
답변 감사합니다! 챗 지피티를 유용하게 써먹어야겠어요
모든 소피스트가 저렇게 말하는 건 아니라 그런식으로 질문하면 위험하긴 한데.
마더텅인데요 엉엉
마더텅도 워낙 틀린 게 많아서 믿음은 안 가요ㅜ
그래서요?
고르기아스는 회의주의라 저기에 끼면 애매할텐데요?
내가 뭐라 했냐? 왤케 띠껍노 ㅋㅋ
아니 띠껍다고 생각한 건 그냥 님이 이상하게 받아들인 거고 질문하고 관련도 없는 마더텅인데요? 이런식으로 말하길래.. 저보고 어쩌라는 거임. 뭔 대답을 원하는건지
미안 내가 너무 예민하게굴었다 기분상하지마ㅠㅠ
소피스트들의 입장에서 보편적인 도덕 원리는 없는게 맞지만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공동체의 규범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한걸로 알고 있어요 소피스트들이 실리와 논변술 명예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저렇게 낸거같은데 뭔가 오류가능성이 다분해보이는 문제인거같기도해요
저도 모호한 부분이 있는 문장이라는 걸 알겠어요 답변 고마워용
소피스크 관점에서
정의는 통치자에 따라 달라지고요
강자는 주관적인 통치를 따르면 이익이되고
약자는 법을 어기는게 낫습다

그건 알죠저라면 문제 존나 이상하네 하고 넘어갈 듯요. 애초에 상대주의자들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