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덮 사문 질문이요 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29553
을국에서 새로운 문화요소가 등장했다고 볼 수 있는 근거가 뭔가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있어도노답없어도노답이긴한데
-
지방러라 대학가서 대치동에서 한번더 도전하고싶은데 07붕이라 재수...?(사실상...
-
"한의사 2년 더 가르쳐 의사면허 주자"…한의협, 여야정 제안 65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는 30일 "의대, 한의대...
-
이 시험에 이정도 점수. 잭팟입니다 풍월을 올리십시오. 아 씨발 화2 표점 별로 안나온거 실화냐
-
내년 6모 전까지 2등급을 만들어야합니다.. 내년에 고2구요 개념이 제일 적은...
-
고1 의대 자퇴 고민 18
안녕하세요 의대가 목표인 17살 고등학생입니다. 공부를 겨울방학 때 본격적으로...
-
기출분석하면 할수록 진짜 물어보는 게 거의 똑같다는 것을 느끼게 되어 진짜 기분 좋네
-
이과황님들 제발 자비를 베풀어 제 증명을 평가해주십시오 4
https://orbi.kr/00069332393
-
그렇게 23년째 시작 못하는중
-
과외가 제일 빠르겠죠?
-
청년서강~!! 1
날아라 알바트로스
-
16번 같은거 수능날 3개 튀어나오면...
-
매번 대성꺼보고 만족중이였는데 혼긱대 이상은 다 위험이야ㅠ
-
국어 5->4 영어 5->3
이미 식민 지배 시점에서 B국의 머리를 짧게 자르는 풍습이 을국에 전파되었습니다
새로운 문화 요소가 ‘만들어지는’ 거랑
새로운 문화 요소가 ‘등장하는’ 건 다름
전자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던 게 새로 창조됐다는 거고
후자는 새로 창조됐든지 다른 사회에서 들여왔든지 그냥 그 사회에 없던 게 그 사회에 추가되면 됨
전자는 문화 융합 / 자극 전파, 발명일 때만 해당되지만
후자는 그 사회에 없던 게 추가됐으면
다 해당됨
을국에 없던 B의 문화가 을국에 추가됐으므로
새로운 문화 요소가 등장한 게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