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론을 대체하게될 "대상이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27260
이게 대상이론이고
https://orbi.kr/00069306569
이게 공집합이 없는 이유고
https://orbi.kr/00069308678
여기서는 어떤분이
A ⊆ B ⇔ (∀x)[(x∈A) → (x∈B)]
라고 헀는데
원소를 모두 부분집합으로 바꾸니 모든집합의 원소가 없어지고
공집합만 남게되는데
공집합 끼리는 A ⊆ B ⇔ (∀x)[(x∈A) → (x∈B)] 가 성립하지 않음
왜냐하면 x가 없기 때문임
공집합이 공집합의 부분집합인 이유는
공집합과 공집합의 교집합이 공집합이기 때문임
어쨋든 원소와 집합을 집합으로 일원화 시키면 모든게 공집합이 되버리고
공집합이 없다고 했으니 집합론이 사라지는거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과 바둑이 비슷한 이유 (Ft. 숨은 그림 찾기) 6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25 37.5 12.5 25 과탐가산 5% 물리는 어짜피 아닌거같고 적백으로...
-
삼반수 고민… 0
현역 36245 -> 재수 33131 6,9모 만점 받은 사탐 하나 날라가서 좀...
-
작년에 개때잡 하긴 했었는데 지금 약간 까먹은 것도 있고 부족한 점 있을까봐요...
-
자유대한~~~ 0
그냥 갑자기 써봄...
-
독서실재수 1
독재 다니고 있는데 너무 분위기가 안 좋아서 그만두려합니다 다른 독재 가려해도 다...
-
대학을 수학과 가게 되었는데 수학을 확통밖에 안 했엇어요 입학 하기 전에 ebs...
니 뭐야?
어떤걸 물으시는거죠
저런건 검증받고싶으면 대학교수한테 물어보셍
대학교수한테 박살날까봐 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