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사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25256
쉽다, 용이하다 등의 의미로 사용되는 '수월하다'의 어근 '수월'은 한자어가 아니다
ㅂ가 순경음이라서 ㅜ가 된 듯
차 후진할 때 '오라이' 하는 건 '오다'에서 온 게 아니다
all right의 일본식 발음에서 왔다고 함
얼마 전에 일본 영화 보는데 일본인들도 오라이(근데 박자가 좀 다름) 하길래 궁금해서 찾아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화학 1컷 50 만들기 ㄷ ㄷ
-
어떤 이유로든 병원이 가고픈 적은 처음인데
-
10도 초반 쌀쌀한 날씨 계속 지속됐으면 좋겠다
-
팩스 5
보낼 때 작성하는 파일에 제 신분증 넣으니 무슨 1940시절 사진처럼 나오는데...
-
저는 수능 당일에도 점심 끝나고 다같이 양치하는거 진짜 문화 충격이었음요...
-
파이널 기준 검색해보니 비슷비슷하긴 한데 그래도 이감은 이감이다 란 반응이 많네...
-
과탐러들은 3
무조건 본인 목표 대학보다 낮은 대학 가는건 현실화 될듯
-
뭐가 있나요?
-
근데 2주만에 이게 뭐지...
-
고민고민........
-
흉하다 > 숭하다 방언에서 보이는 ㅎ 구개음화
-
위도별 날씨 확실하네 14
헬반도
-
국영수 9모등급이 6모등급이랑 비교해서 수직하락했다가 9덮때 6모성적보다 높게...
-
알림이…..ㅋㅋㅋ
-
2025-2017학년도 사관학교 독서 평가원화.pdf 3
2025-2017학년도 사관학교 1차 선발시험 독서 모음입니다. 많은 분들이...
-
국어 > [이감국어 프로그램 시즌6 1] 모의고사 1차 공통, 화작 > [수능특강...
-
https://youtube.com/shorts/OjvT92Sit6s?si=W9BBz...
-
존나 춥노
판례암기어쩌고님이 생각나네요
‘수월하다’에서 ‘수월’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다. 심재기(1994)에서는 ‘쉬다’와 한자어 ‘헐하다’가 결합된 것으로 보고 이렇게 두 단어가 결합되면서 두 단어가 결합되면서 “쉽다”, “용이하다”라는 의미가 생겨난 것으로 보았다. 김민수 편(1997)에서는 부사 ‘수월수월’(모두 썩 수월하게)을 ‘쉽다’에 접미사 ‘-얼’이 결합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수월수월’의 ‘수월’과 ‘수월하다’의 ‘수월’을 같은 것으로 본다면 ‘수월하다’의 ‘수월’도 이와 같이 분석할 수 있다.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심재기가 歇로 본 건 "숨어있던 복합어에 대하여(1994)"인데 김민수(1997)이 좀 더 개연성이 높아 보이는 듯...?
근데 방언 분화 보면은 ㅎ이 보이긴 해서 심재기가 歇로 본 건가 싶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