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기생충]에 나온 수험생이 가져야할 시험칠 때 태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22616
오늘은 다음 모의고사까지 하면 좋은 시험칠 때 태도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 태도는 제가 많이 도움이 되었고,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방법이지만 정말 중요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건 바로 '거슬리면 넘어가라' 입니다.
보통 모의고사를 풀 때 특히 수학,과학 같은 과목은 1번부터 순서대로 푸는 수험생이 많을 것입니다. 이렇게 순서대로 풀다가 조금이라도 막히는 문제가 있다면 일단 그 문제를 넘어가고 다른 문제부터 푸는 것입니다.
수학 과목의 경우 대부분의 문제가 3점 or 4점 과탐의 경우 모든 문제가 2점 or 3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같은 점수의 문제라도 난이도가 쉬운 문제가 있고 어려운 문제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같은 점수라면 비교적 난이도가 쉬운 문제를 먼저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쉬운 문제를 미루고 어려운 문제를 고민하다가 나중에 시간이 없어서 비교적 쉬운 문제들까지 시간부족으로 실수해서 틀리는 참사를 여러 수함생들에게서 발견해왔으니깐요.
여기서 중요한것은 문제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기준은
'본인'입니다.남들에게 쉽든말든 내 기준에서 어렵다면 그건 어려운 문제가 되겠죠. 그렇기에 어려운 문제들은 뒤에 풀고 내 기준에서 쉬운 문제들을 먼저 처리하는 것이 성적을 잘 받을 확룰이 올라갑니다. 그러니 시험을 풀다가 어려운 문제가 나오게 되면 뒤로 미루는 행위, 즉 막히는 문제는 빨리 넘기는 것이 좋습니다.
근데 저는 위에서 확인항 수 았듯이 '거슬리면' 넘어가라고 표현했습니다. 저는 시험칠 때 막히면 넘어가는 이 태도를 좀 더 극단적으로 행동하였습니더.저는 문제를 읽자마자 해야할 행동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즉 문제를 읽고 바로 풀이과정이 술술 써내려 갈 정도로 내 기준에서 쉬운 문제가 아니라면 정말 1초의 망설임도 없이 다음 문제로 넘어갔습니다. 나증에는 정말 극단적으로 신경에 조금이라도 거슬리는 문제라면 고민없이 기계적으로 문제를 넘겼습니다.
그러나 정말 중요한 것은 넘어간 문제에 대해선 전혀 1도 신경을 쓰지 않고 다음 문제에 집중했습니다. 이게 정말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문제를 넘길때에도 '아 모르는 문제가 있네, 좀 있다가 어떻게 풀지?' 라는 걱정하는 마음보단 ' 아 귀찮아 ㅎㅎ 좀 이따 풀어야징' 라는 마인드를 갖고 넘겼습니다. 내 기준 어려운 문제를 넘길때만큼은 풀기 어려운, 즉 하기 싫은 일을 뒤로 미루는 게으름쟁이가 되어도 좋습니다.
영화 기생충에서도 이런 말이 있었죠. "실전은 기세야"
이 대사는 주인공 최우식이 과외하는 장면에서 나온 대사인데요. 과외생 지소가 문제를 풀다가 막히는 문제를 넘어가 버립니다. 그리고 다음 문제를 풀다가 아까 막혔던 문제가 신경쓰여 다시 그 문제를 펼쳐 고민하는 장면에서 과외선생인 최우식이 위의 대사를 칩니다.
그러니 앞으로 시험을 칠 땐 내 기준 어려운 문제, 즉 거슬리는 문제가 있다면 고민 없이 문제를 미뤄보세요.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해선 신경도 쓰지 말고 다음 문제에 집중해보세요. 그저 미룬 문제가 있다는 것만 기억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거슬리면 넘기는 시험 태도를 앞으로 혼자서 모의고사 칠 때 연습하며 이 태도를 습관으로 만든다면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https://docs.orbi.kr/docs/12711-%EA%B0%9C%EC%A0%95%ED%8C%90+%EC%88%98%EB%8A%A5+%EC%88%98%ED%95%99+%EB%A7%8C%EC%A0%90%EC%9C%BC%EB%A1%9C+%EB%A7%8C%EB%93%A4%EC%96%B4%EC%A4%80+%EA%B3%B5%EB%B6%80%EB%B9%84%EB%B2%95+%EC%A0%95%EB%A7%90+%EC%A3%BD%EB%8F%84%EB%A1%9D+%EA%B3%84%EC%82%B0+%EC%8B%A4%EC%88%98+%EC%95%88%ED%95%98%EA%B3%A0+%EC%8B%B6%EB%8B%A4%EB%A9%B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거국가면 맨뒤 꼴지임?
-
'왜'가 중세국어 때 쓰였다면 발음은 why였을 것 5
ㅐ가 이중모음이라 ㅙ는 삼중모음이었는데 그러면 '오아이'를 빠르게 발음하듯이 하면...
-
국수 난이도 ㅇㄸ
-
지금부터 수학 1일 2실모 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1실모+하프 or N제 어떤게 나을까요???
-
사용멈추고 본체에 꽂으면 꽂혀있는데 안꽂혔다고 뜸;; 안에를 청소해야하는건가
-
무슨 말이죠
-
걸어가기엔 귀찮고 그렇다고 배달시키기엔 또 가까운 애매한 곳에 다 있냐…
-
과탐 실모치는데 1
점수 볼때마다 약간 현타옴 ㅠㅜㅋㅋㅋㅋ 특히 지구
-
심찬우쌤 3
작년 수강생분들 우만수에서 ebs 대비도 해주시나요..? 올해는 몇개 좀 가져와서...
-
난 야뎁을 안씀 1
모고재질이 좋단말임 까끌까끌 근데 ㅈㄴ 비쌈
-
갤럭시 S1????? 저게 대체 몇년 전 폰인데 아직도 저걸로 돼있냐..???
-
챗지피티 피셜 어제 유출자 검거로 2.7퍼로 떨어진 이후부터 가파르게 상승 중
-
드디어 잠깨네 0
국어 날림 ㅅㄱㅇ
-
9모 문학 3특 화작 2틀로 89받고 그 전에 실모 친건 70중반 나와서 조금...
-
것 같은데 이때 대한민국 ㅈㄴ 궁금하지 않음?
-
사탐은 궁금한게 2
왜이렇게 개념충돌 오류가 많음? 과탐은 논란터져봤자 감각적인 직관인데
-
요즘따라 문제 푸는 피지컬이나 폼은 올라왔는데 가끔 개 어이없는데서 실수함… 노력을...
-
될 가능성은 없겠죠?
-
지1 북반구에서 왜 여름철에 이산화탄소농도가 낮음? 1
이산화탄소는 겨울에 떼는 보일러때문에 높은건가요? 그럼 남반구는 8월에 이산화탄소 농도가높나요?
-
학원 일찍 나오는거 좀 억지겠죠?
무계획이 계획이다인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