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하시는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19426
가족문제의 원인이 가족 구성원 사이의 유대약화가 원인인가?
가 왜 기능론인가?인가여
아무리봐도 상상론 같은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의 도움을 받아 19수능 원점수 69점 4등급에서 20수능 94점 1등급을...
-
우선 필자는 19수능 2-> 20수능 1임을 밝힙니다. 짧게 말씀드리겠습니다. 문법...
-
유현주 T 수강후기 (6월 백분위 80 -> 2020수능 100점) 2
1, 2학년때도 국어는 1~2등급을 오가고 3학년 3월, 4월 모두 1등급이 나와서...
-
먼저 저는 3년 동안의 모의고사 중 국어가 한번도 1등급이 나온 적이 없었으며 3월...
-
글을 본격적으로 쓰기 전에 유현주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ㅠㅠㅠ 안녕하세요. 제가...
-
올해 수능 80일 공부하고 국어 백분위 98! (문법의 끝 후기) 2
저 같은 경우 수능을 다시 보기로 결정을 굉장히 늦게 해서 (다시는 수능 보지...
-
[유현주국어]'2018 문법의 끝'이 곧 나옵니다^^ 41
안녕하세요 국어영역 강사 유현주입니다. 오르비 문법서 4년 연속 1위인 '2018...
-
저는 국어를 모든 과목 중에 제일 좋아하고 또 점수도 잘나왔습니다. 그만큼 국어에...
-
유현주센세bbb 13
오늘 문법 무료특강 개꿀 딱딱 중요한거 찝어서 흐름 잡아주니까 현강 오기 잘했다...
기능론에서는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사회가 유기체처럼 잘 돌아간다고 봅니다. 기능론에서는 가족을 볼때 아빠는 일을 해서 돈벌고 엄마는 집안일을 하는것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는데 가족끼리 유대가 약화되면 서로의 역할을 믿지 못하게 되어 ‘일시작 병리 현상’ 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애매함 평가원은 그렇게 안냄)
이거 수능 문제에요ㅠㅠㅠ 그래서 더 멘붕..
답변 부탁드려요...... 이거 20수능 기출이에요ㅠ 근데
해설지를 봐도 이해가 안되네요.. 답변주신 내용은 이해가 가는데 저게 평가원이 낸거라 멘붕이에요.. 상상론이라고 봐도 딱히 틀리지않은것 같아서요 기능론인건 이해했지만요
아시다시피 상상론은 ‘개인의 상황적 정의’ 를 중시합니다. 아무리 가족끼리 연대가 약화되더라도 개인이 ‘우리 가족은 문제없어’ 라고 상황을 정의하면 문제가 안될수도 있습니다. 저 선지가 만약 “문제라고 볼수 있는가?”면 상상론도 가능하지만 “문제라고 보는가?”이기 때문에 항상 그런것은 아닙니다
아!! 상상론이 맞으려면 상황적인 정의가 들어가야겠군요 어느정도 이해가 됐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