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문학은 문학적으로 접근하면 안 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12619
안녕하세요. 김도훈입니다.
오늘은 문학의 올바른 접근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말하기 전에 앞서서 우선 여러분들에게 물어보고 싶어요. 여러분들은 문학을 어떻게 풀었나요? 그저 느낌 가는대로만 문제를 풀었다면 그것은 안됩니다. 나중에 작성할 칼럼 내용 중 하나이지만 항상 근거, 즉 당위성을 가지는 연습을 해야만 해요.
자, 이성적으로 생각해봅시다. 수능을 보는 40만 수험생은 모두 각기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능에서 문학이 이의제기에 걸리는 경우는 손에 꼽아요. 서로 다른 정서를 가지고 있는 수험생들이 일관된 답을 고를 수 있는 이유는 문학이라는 장르가 주관적일지라도 답을 내는 근거는 지극히 “객관적”이기 때문입니다.
문학 = 객관 + 상식
자, 오늘 말하고 싶은 것의 본론입니다. 문학을 객관적으로 풀어야 하는 이유의 당위성은 이미 설명했으니, 이제 어떻게 문학을 객관적으로 풀어야 하는지 생각해봅시다.
문학을 객관적으로 풀 때 여러분들이 주의하실 것은 모든 것의 객관화가 아닌 상식을 가미한 객관화를 진행해야 합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제가 수업에서 사용하는 “빌드업”이라는 개념을 먼저 이야기 해봅시다.
여러분들은 “부모“라는 시어를 볼 때 무슨 생각이 드시나요?
대부분의 학생들은 따뜻하다와 비슷한 결의 감정어를 사용할 겁니다. 그러나 앞 부분의 시적 상황이 가정 폭력의 상황이라면요? 결코 좋은 시어로 보이지 않을 겁니다. 여러분들은 시어를 보실 때 시의 상황에 맞추어 이 시어들을 해석해야 합니다.
다른 예시를 들어 봅시다. 여러분들은 ”울음“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많은 분들이 생각하시는 울음은 슬픔이라는 감정이겠죠. 그러나 우리는 엄청난 감동을 받을 때도 웁니다.
제 말의 요점이 보이시나요? 제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여러분들은 단어 하나하나의 주관적 이미지에 기대는 것이 아닌 상황, 즉 주제라는 전체적인 측면을 바라봐야만 시어들의 구체적인 해석이 가능해집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감정어“와 ”보기“를 최대한 활용할 겁니다. 직접적으로 ‘슬프다’라고 시어가 나와 있으면 이 사람은 슬픈 겁니다. 당연한 말이죠? 하지만 이것은 여러분들이 문학을 풀 때 많이 놓치는 것 중 하나에요. 이렇게 직접적인 감정어를 통해 이 사람들의 행동을 “인과적으로” 바라보는 겁니다. 가령 “슬프다”라는 감정으로 “울음”이라는 것이 슬퍼서 우는구나를 알 수 있게끔 하는 것이죠.
궁극적으로 이를 통해 우리가 찾아야 하는 것은 주제와 직결된 시의 상황인 겁니다. 상황을 찾으면 이 시어들이 좋은 것인지 아닌지 찾을 수 있거든요. 그렇다면 <보기>는요? 두말할 것도 없습니다. <보기>는 시의 주제, 즉 상황 자체를 직접적으로 제시해 주죠. 그러다 보니 당연히 <보기>는 작품을 이해하는 기준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처음으로 돌아가 봅시다. 제가 말하는 문학의 객관성과 주관성에 대해 이를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요?
문학의 객관성은 단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찾아왔던 직접적인 감정과 주제를 통해 단어의 이미지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것이 우리의 상식이에요.
슬프다라는 감정이 왜 나쁜 상황인지, 혹은 우애 깊던 가족 공동체의 해체라는 것이 왜 부정적 상황인지, 이런 것들을 이해하는 과정은 지극히 상식적입니다. 이 과정은 상식적이지만 이것을 통해 뒤에 나오는 행동이 ’나쁜 상황이구나‘를 이해하는 것은 객관적이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냥 저런 행동을 해서 나쁜 것이 아닌 앞에서 나쁘다라는 것을 계속 빌드업 해왔기 때문에 나쁘다는 거에요.
이게 제가 말하고 싶어하는 수능 문학의 올바른 접근법입니다. 객관성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야만 직관이라는 것으로 무장된 ‘찍기’에서 도망가실 수 있습니다. 질문사항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출처: https://cafe.naver.com/righteacher/166?tc=shared_link
김도훈 T의 다른 글:
특별한 공부법이 존재하는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마이농과 러셀 2
....이 떠오르는 글이 밑에 있네요
-
여혐하다가 새벽만 되면 야순이한테 배 뒤집어 까는 야붕이와 같음. 집에서 뜨신 밥...
-
파본검사하는데 문학 연계 중요도 낮은 작품들만 나와서.. 거기다 현소는 비연계
-
난이도 - 지난 회차들보다 확실히 쉬움 특이점 - 일부 문학 선지들 판단 근거가...
-
이거어케된거 물론 9덮 찍맞 있고 9모 찍맞 없긴ㄹ한데
-
https://orbi.kr/00069306569 이글의 내용대로 공집합이 존재하지...
-
오전 8시 30분부터 12시까지 국어 실모 했고 남은 시간 수학 물리 끄적끄적하다...
-
제가 가진 덕코로 다 살수도 없네요
-
고전소설 1
어케 하나요... 낙성비룡 ㄹㅇ 뭔소린지 하나도 모르겠어서 걍 다 찍고 틀림. 아직...
-
메가에서 기출 해설강의 12년도거까지 다 볼 수 있네.. 샘들 리즈시절 보니까 ㅈㄴ커엽노..
-
물리 아예모름
-
잇올러 질문 4
얘네는 하루에 몇시간 이상 아니면 한달에 몇시간 이상 그런게 있나요? 지금 다니는곳...
-
ㅈㄱㄴ
-
현역이고요 지금은 친구들이랑 독재 같이 다니고 있는데, 독재 쌤이 저 뒷담까서...
-
강민철이 했던말중에 뭔가 정신차리고 딱 멘탈 잡아준멘트 (이시기에 가져야할 마인드) 1
얼마전 파이널학습법영상에서 학생들이 막 뒤로 갈수록 불안하고 좌절하고 스트레스...
-
탐구 공부했음… 기분 드럽네..
-
문학 강의는 연계만 들어보고 비문학은 두 개 들어봤는데 좀만 듣고 드랍해서..
-
인생 최저점 받았는데 어칸담
-
오르비 안녕 4
안녕
-
독서 단골 양자역학, 겉핥기라도 해보자(열린연단 3편) 1
안녕하세요 독서칼럼에 진심인 타르코프스키입니다. 양자역학은 의외로 독서 지문에...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