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운 사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09641
맞추다가 원형이네
아까 내신글 어디갔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친구가 연고전 영상 보내줘서 봤는데 갑자기 연고뽕 차서 ㅈㄴ 가고 싶어졌는데 더프랑...
-
자기라고 생각하면 100덕을 놓고 가세요
-
도서관이라 그만둠뇨
-
용용 7
다들 잘자용
-
이해원 n제 1시간 재고 풀면 1개 못풀고 한두개 정도 추가로 틀리는 수준인데...
-
다른알바 나 괴롭히던 일진닮아서 ptsd오노 하
-
12+4 를 18이라 해서 -2라 쓰고 틀림 ㅋㅋ
-
누구시길래 실검을
-
수바 16회 12번 11
(1~4)까지 (x-1)(x-4)(x-a) 적분한 값이 주어져 있어서 저 식을...
-
현우진이 잘생겨 보임
-
생각해보면 외국어 능력하고 경력 이외엔 안 떠오름 22세에 입사하는 사람도...
-
푸는 내내 토나옴
-
https://orbi.kr/00069308678 1. 모든 원소를 부분집합으로...
-
님들 그거앎? 10
ㅇㄱㄱㄷ
'맞-추다'로 분석 안 한 건 국국원의 실수이려나
그럼 한 걸음 더의 기술은 대체 뭐임
이해 못했어요 구체적으로 부탁해도 될까요?
국국원은 2023년 7월부터 대충 1600개 정도의 어휘에 '한 걸음 더'라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맞추다'를 검색하고, 밑의 '한 걸음 더'라는 정보를 보면
"‘맞추다’는 ‘맞히다’와 구별하여 적어야 한다. ‘맞추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 ‘똑바르게 하다’ 또는 ‘비교하다’의 뜻을 나타내며, ‘줄을 맞추어 서자.’, ‘친구와 답을 맞춰 보았다.’와 같이 쓴다.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 ‘맞게 하다’ 또는 ‘적중하다’의 뜻을 나타내며, ‘화살을 과녁에 정확하게 맞혔다.’, ‘문제의 정답을 맞혔다.’와 같이 쓴다."라고 언급이 되어 있고 이 문장에
"‘맞추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라는 문장이 있어서 기술이 모순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뜻풀이에 '맞다의 사동사'도 없고, 붙임표도 있지 않으니 아마 '한 걸음 더'를 쓰면서 국립국어원의 편집자가 실수를 한 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