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운 사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09641
맞추다가 원형이네
아까 내신글 어디갔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실모 4
히카나 킬캠 풀어보면 수학이 맨날 시간이 부족해서 다 못풀고 끝나고 나서 풀어보면...
-
체화서 이미 밀렸는데 ㅅㅂ 아오 너무 바쁘다거
-
ㅇ어ㅜㅡ사ㅏ러어
-
Fx가 0이랑 2에서 0이 되는데 불연속인거 아닌가요? 잘 이해가 안되서요..
-
언 90 확 66(ㅅㅂ3점두개) 생윤 44 사문 41 영어 2임 등듭예측좀(보정)
-
물1 화1 생1 지1 꼭 전부 다 언급할 필요 없음
-
운명처럼 반드시 '노'와 대면케 될지니..
-
수2를 젤 잘하긴하는데 마무리용으로 하나 하고싶네여
-
맞팔맞팔 10
하실분 하실분
-
이감 모고 보니까 너무 어려워 보이던데 좀 더 난이도 쉬운 사설 모고 있어여?
-
펀쿨섹좌 잘생김 1
알파남인 듯
-
수학황들 질문 2
지금부터 1일 1실모 + n제 과목당 두세개씩 더 풀면 1컷 유지 ㄱㄴ?
'맞-추다'로 분석 안 한 건 국국원의 실수이려나
그럼 한 걸음 더의 기술은 대체 뭐임
이해 못했어요 구체적으로 부탁해도 될까요?
국국원은 2023년 7월부터 대충 1600개 정도의 어휘에 '한 걸음 더'라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맞추다'를 검색하고, 밑의 '한 걸음 더'라는 정보를 보면
"‘맞추다’는 ‘맞히다’와 구별하여 적어야 한다. ‘맞추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 ‘똑바르게 하다’ 또는 ‘비교하다’의 뜻을 나타내며, ‘줄을 맞추어 서자.’, ‘친구와 답을 맞춰 보았다.’와 같이 쓴다.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 ‘맞게 하다’ 또는 ‘적중하다’의 뜻을 나타내며, ‘화살을 과녁에 정확하게 맞혔다.’, ‘문제의 정답을 맞혔다.’와 같이 쓴다."라고 언급이 되어 있고 이 문장에
"‘맞추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서"라는 문장이 있어서 기술이 모순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뜻풀이에 '맞다의 사동사'도 없고, 붙임표도 있지 않으니 아마 '한 걸음 더'를 쓰면서 국립국어원의 편집자가 실수를 한 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