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논리적으로 틀린 문장 아님? 국어 황 와보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95756
비본래적인 삶을 사는 현존재=세인임
"비본래적 삶에서 해방되어 본래적 삶으로 나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세인이 세인을 탈출하기 위해선 죽음을 인식해라)
하지만 내가 죽는다는 사실을 아는 것 만으론(=죽음에 대한 인식) 본래적 삶을 살아갈 수 없다. 현존재가 스스로를 세인으로 전락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뒤부터도 세인에 대한 얘기를 하는거 아닌가요? 근데 세인이 세인으로 전락할 수 없지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현역이라 내일보는데 무섭다.... 오르비글 메인만 봤는데... 답스포당할까봐...
-
는 작아요 입결만 봐도 서울대와 연고 차이 보다 연고와 서성한 차이가 작다는 걸 알...
-
지능이란? 4
1. 정보 2. 공통점 기반의 정보연결
-
학원엔 나 혼자 선생님도 안 계셔서 그냥 문 열고 들어옴뇨
-
넷플 흑백요리사 0
ㅈㄴ재미있네 공부 잘 안되면 미친척하고 1.5배로 보셈
-
ㄹㅈㄷ공하싫이에요 물리 진짜 심각한데
-
명제 질문.. 1
사과는 빨갛다->포도는 보라색이다 전건과 후건이 모두 참이라면 사과가 빨갛다는게...
-
문학 병행하는거 ㄱㅊ을까요??? 두분 문학푸는 스타일 많이 다른가요? 강민철쌤은 한번도 안들어봐서요
-
28번 맛있더라 ㅋㅋ 구조반복으로 스근하게 풀어재끼는 내 모습에 반했자너~ 1컷 몇...
-
언매 81 미적 66 영어 2 물2 36 화2 39 특히 미적은 너무 역대급 커로라...
-
킬캠 비싸다 1
진짜 비싸
-
A={t | f(t)는 정수}, B= {f(t) | f(t)는 정수 } 이게...
-
후기점 ㅎ
-
오늘 9덮 확통 64점 나왔는데 수능예상등급 3까진 나올까요 1
수능 수학 2등급이 목표인데 힘들겠죠 아마
-
수학잘하시는분들 5
엔제 추천해주세요 지금까지 설맞이 하사십12 풀었고 강x나 더프같은 모고치면 난이도...
-
더프 성적 2
언매 88 미적 76 영어 1 물리 45 지구 39 낫배드인거같은데 지구때문에 찝찝하네...
-
꼭 해야될까요?
-
공부 1도 안 해서 만년 3이었는데 9모에서 2 9덮에서 1뜸ㅋㅋ
-
화1 후기는 갈수록 안보임... 작년도 이정돈 아니었는데
-
덮후기 2
총평 모든 과목에서 병신짓을 한번 이상 한.. 국어 언매 91 어휘랑 언매첫문제...
세인은 그 자체로 비본래적 삶을 사는 현존재로 정의되는 존재이니 그가 죽음을 인식해 스스로를 벗어나려 할지라도 자신의 존재 방식 자체에 의해 구속된다 그런말인건가
앎이 인식의 필요조건일뿐 충분조건이거나 동치는 아니라는건가
아니면 인식=앎이라고 해석하면 세인으로 벗어나기 위해서는 죽음의 인식 말고도 다른조건이 추가로 필요한걸수도?
여기서 당신이 혼동하신 부분은 **“현존재가 스스로를 세인으로 전락시킨다”**는 표현입니다. 당신은 이미 현존재가 비본래적 삶을 사는 세인과 동일시되었는데, 어떻게 현존재가 세인으로 전락할 수 있는지 의문을 갖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해명하자면:
• 현존재는 본래적 삶과 비본래적 삶을 모두 살 수 있는 존재입니다. 즉, 세인으로서의 삶에서 벗어나 본래적 존재로 나아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러나 죽음에 대한 단순한 인식은 현존재를 본래적 삶으로 자동으로 이끌어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현존재는 자신의 불안이나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다시 세인의 편안함과 익숙함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현존재가 스스로를 세인으로 전락시킨다”**는 것은 현존재가 자신의 선택이나 행동을 통해 다시 비본래적인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결론적으로, 세인이 세인으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라, 현존재가 세인의 상태에서 벗어나 본래적 삶을 추구하려는 과정에서 다시 세인의 영향력에 휩싸여 비본래적 삶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하이데거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본래적 삶을 살기 위해서는 죽음에 대한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실존적인 결단과 실천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그렇대요
챗지피티같당
맞으니까..
이게 내용의 문제가 아니라 문맥상 오류인데 하지만으로 문장이 이어지는데 앞문장에서 세인에 대한 얘기를 하니까 문맥상 뒷문장에서도 세인에 대한 얘기를 하는게 자연스럽지 않나요. 그런데 그 뒷문장에서 세인이 세인으로 전락한다고 하는거니까 문맥상 오류라는거
개념상으로든 문맥상으로든 현존재 = 세인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문맥상으로도 문제는 없는거같아요
하지만 이후에 문맥상 들어가야만하는 말 = 죽음의 인식만으로 본래적 삶을 살 수 없다 = 무언가 더 필요하다
-> 현존재가 스스로를 세인으로 전락시키지 않아야한다
정도의 흐름으로 볼 수 있을거같습니다
세인이 아니라고 쳐도 하지만 뒤에 세인 얘기가아니라 현존재 얘기를 하니까 문맥상 문제가 되는거 아닌가여? 세인 얘기 하다가 뜬금없이 현존재 얘기 한거니까
하지만 이후의 문맥상 들어가야하는 내용은 하지만이라는 연결어의 성격 상 구체적으로
세인의 얘기라기보다
세인인 상태에서 죽음을 인식해도 해방 될 수 없다! 라고 서술 해주는게 타당해보여요
그 근거로 현존재가 비본래적 삶으로 전락하려고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말해주는거고요
범주적으로 보면서도 약간 두루뭉실하게 생각하시는거 같습니다
구체적인 의미를 따져보면
세인에서 죽음을 인식하여야 해방될 수 있다
-> 하지만(이 연결어 자체로 세인이 죽음의 인식만으로는 본래적 삶으로 해방될 수 없다 라는 문맥상의 내용이 와야 타당함) 내가 죽음을 인식하더라도 본래적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왜냐하면)현존재는 세인으로 전락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문맥상의 문제가 있다기보다 문장사이에 생략된 주장이 있다고 보는게 타당한거같습니다
세인이 죽음을 인식만 한다고 해방될 수 없다의 근거로 현존재가 세인으로 전락한다는걸 드는게 어색한 거 아닌가요?
그게 왜 어색하죠..?
현존재 = 세인이 될 수도 있고 본래적 존재가 될 수도 있는 존재인데 그런 현존재가 세인으로 전락하려는 경향이 있다.
너무 자연스러운데요? 내용과 문맥은 떼놓아 볼 수 없는건데
현존재와 세인의 관계는 일종의 스펙트럼처럼 볼 수 있지 않나요?
세인이 죽음 인식으로 본래적 삶을 살 수 없다.현존재가 세인이 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세인이 죽음을 인식하더라도 본래적 삶을 살 수 없는 이유는 현존재가 세인이 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이 맥락인데 이게 세인과 관련된 얘기가 아니라고 말 할 수 있나요?
주장과 주장사이의 내용이 생략되어 있는거지 문맥상 오류라고 보기엔 힘든거같습니다
국어랑 별개로 하이데거한테 현존재는 세인이 될수도 있고 본래적 존재가 될수도 있는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