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논리적으로 틀린 문장 아님? 국어 황 와보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95756
비본래적인 삶을 사는 현존재=세인임
"비본래적 삶에서 해방되어 본래적 삶으로 나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죽음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세인이 세인을 탈출하기 위해선 죽음을 인식해라)
하지만 내가 죽는다는 사실을 아는 것 만으론(=죽음에 대한 인식) 본래적 삶을 살아갈 수 없다. 현존재가 스스로를 세인으로 전락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뒤부터도 세인에 대한 얘기를 하는거 아닌가요? 근데 세인이 세인으로 전락할 수 없지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수라 5
뭔가 저랑 김승리 선생님이랑 잘 안맞는듯...별로네 특히 과학기술 파트..드랍하기엔...
-
연장선을벅벅
-
연대 가고싶다 2
개간진것 같음 ㄹㅇ...
-
알면 최소 4수생이기는한데........
-
산업공학과 19
국어황이고 수학허수인데 산업공학과가 넘 가고싶습니다 백분위 98 88~90 (낮2...
-
아무거나 질받 5
ㅇㅇ
-
받아본사람 있음? 4규나 n티켓정도만 풀고
-
작수 언매 77점 (백분위 88 3등급) 6모 화작 75점 7덮 화작 65점 8덮...
-
후응
-
이번 미적84 14
무보정 기준 백분위 몇뜰것같음
-
피드백 : 논술학원 졸지말기…..
-
문과로 가는거밖에 답 없나요 수학 2~3 (심지어9모땐살면서첨으로4도떠봄...
-
오답을 안해서 아직 왜틀린지 모르겠음...ㅈㄴ 확신에차서 찍었는데
-
사문 1
사문 1 나오는 분들 지금까지 뭐머 공부하심여? 요즘은 하루에 몇시간정도로 뭐하고있음?
-
별 거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좀 매워
-
친구가 9모 이렇게 봤다는데 수능에서 이정도 받으면 어디감? 쌍윤임 과 상관없고...
-
2일차 인증합니당 하루에 공부한 시간에 비해 한게 얼마 없군요... 내일은 현강...
-
이거 문제 풀 때 자문 너무 왓다갓다 거리는디 나만 이래…? ㄴㅐ 뇌 저장공간이 부족한건가
세인은 그 자체로 비본래적 삶을 사는 현존재로 정의되는 존재이니 그가 죽음을 인식해 스스로를 벗어나려 할지라도 자신의 존재 방식 자체에 의해 구속된다 그런말인건가
앎이 인식의 필요조건일뿐 충분조건이거나 동치는 아니라는건가
아니면 인식=앎이라고 해석하면 세인으로 벗어나기 위해서는 죽음의 인식 말고도 다른조건이 추가로 필요한걸수도?
여기서 당신이 혼동하신 부분은 **“현존재가 스스로를 세인으로 전락시킨다”**는 표현입니다. 당신은 이미 현존재가 비본래적 삶을 사는 세인과 동일시되었는데, 어떻게 현존재가 세인으로 전락할 수 있는지 의문을 갖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해명하자면:
• 현존재는 본래적 삶과 비본래적 삶을 모두 살 수 있는 존재입니다. 즉, 세인으로서의 삶에서 벗어나 본래적 존재로 나아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러나 죽음에 대한 단순한 인식은 현존재를 본래적 삶으로 자동으로 이끌어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현존재는 자신의 불안이나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다시 세인의 편안함과 익숙함에 안주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현존재가 스스로를 세인으로 전락시킨다”**는 것은 현존재가 자신의 선택이나 행동을 통해 다시 비본래적인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결론적으로, 세인이 세인으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라, 현존재가 세인의 상태에서 벗어나 본래적 삶을 추구하려는 과정에서 다시 세인의 영향력에 휩싸여 비본래적 삶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하이데거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본래적 삶을 살기 위해서는 죽음에 대한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실존적인 결단과 실천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그렇대요
챗지피티같당
맞으니까..
이게 내용의 문제가 아니라 문맥상 오류인데 하지만으로 문장이 이어지는데 앞문장에서 세인에 대한 얘기를 하니까 문맥상 뒷문장에서도 세인에 대한 얘기를 하는게 자연스럽지 않나요. 그런데 그 뒷문장에서 세인이 세인으로 전락한다고 하는거니까 문맥상 오류라는거
개념상으로든 문맥상으로든 현존재 = 세인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문맥상으로도 문제는 없는거같아요
하지만 이후에 문맥상 들어가야만하는 말 = 죽음의 인식만으로 본래적 삶을 살 수 없다 = 무언가 더 필요하다
-> 현존재가 스스로를 세인으로 전락시키지 않아야한다
정도의 흐름으로 볼 수 있을거같습니다
세인이 아니라고 쳐도 하지만 뒤에 세인 얘기가아니라 현존재 얘기를 하니까 문맥상 문제가 되는거 아닌가여? 세인 얘기 하다가 뜬금없이 현존재 얘기 한거니까
하지만 이후의 문맥상 들어가야하는 내용은 하지만이라는 연결어의 성격 상 구체적으로
세인의 얘기라기보다
세인인 상태에서 죽음을 인식해도 해방 될 수 없다! 라고 서술 해주는게 타당해보여요
그 근거로 현존재가 비본래적 삶으로 전락하려고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말해주는거고요
범주적으로 보면서도 약간 두루뭉실하게 생각하시는거 같습니다
구체적인 의미를 따져보면
세인에서 죽음을 인식하여야 해방될 수 있다
-> 하지만(이 연결어 자체로 세인이 죽음의 인식만으로는 본래적 삶으로 해방될 수 없다 라는 문맥상의 내용이 와야 타당함) 내가 죽음을 인식하더라도 본래적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왜냐하면)현존재는 세인으로 전락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문맥상의 문제가 있다기보다 문장사이에 생략된 주장이 있다고 보는게 타당한거같습니다
세인이 죽음을 인식만 한다고 해방될 수 없다의 근거로 현존재가 세인으로 전락한다는걸 드는게 어색한 거 아닌가요?
그게 왜 어색하죠..?
현존재 = 세인이 될 수도 있고 본래적 존재가 될 수도 있는 존재인데 그런 현존재가 세인으로 전락하려는 경향이 있다.
너무 자연스러운데요? 내용과 문맥은 떼놓아 볼 수 없는건데
현존재와 세인의 관계는 일종의 스펙트럼처럼 볼 수 있지 않나요?
세인이 죽음 인식으로 본래적 삶을 살 수 없다.현존재가 세인이 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세인이 죽음을 인식하더라도 본래적 삶을 살 수 없는 이유는 현존재가 세인이 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이 맥락인데 이게 세인과 관련된 얘기가 아니라고 말 할 수 있나요?
주장과 주장사이의 내용이 생략되어 있는거지 문맥상 오류라고 보기엔 힘든거같습니다
국어랑 별개로 하이데거한테 현존재는 세인이 될수도 있고 본래적 존재가 될수도 있는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