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센스 지금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양 너무 많을까요..? 너무 늦은 감이 있긴...
-
정법질문 2
ㄷ에서 을(판매자)이 사기쳐놓고 확답촉구권을 가지나요? 그럼 을(판매자이자...
-
진짜 부정식품을 한 끼당 7000원 넘게 내고 먹어보면 생각이 바뀔텐데... 라고할뻔
-
ㄹㅇ어케얻는겨...
-
연논 2
이번 연세대 논술 (자연) 합격 컷이 얼마나 될까요?
-
여호와는 악한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인류를 풍족하게 살게해주겠다고 에덴동산 지었지만...
-
빛의 속력도 언제든지 c로 같고 광속도 아무때나 똑같이 c인건가요
-
새로운 길이면-> 오답가능성 있음 오답가능성 없음-> 새로운 길이 아님 오답을...
-
6월 15일부터 사라지셔서 10월 10일 복귀 솔직히 타수만 낮지 네임드 있는...
-
오늘의공뷰 1
국어:비문학 연계3지문+비연계2지문+문학옛기출3지문+농가월령가 1~3월 읽기...
-
인생 살면서 3
2:1을 할 날이 한번은 오나요?
-
뭐라도 하자.
-
23, 24 평가원에서 자주 출제된 수요 공급 자료가 있습니다. 바로 요런 식의...
-
30일이 깨진다…
-
ㄹㅇ 죽을맛이네 수능때 국어 망치면 자살 ㄱㄱ혓!!!!.
-
9모 3등급나왔고 많이 늦은건 알지만 국어파이널 들으려고 하는데요.. 초반에심찬우쌤...
-
당근은 0
잎이 참 예뻐요 네
나도 전적으로 동의함!
모순 : p,q 명제가 동시에 참일 수가 없다.
p : true / q : false
p : false / q : true
거짓은 그냥 false
둘이 필충이 아닌데요
아니 본문식이 틀렸냐고요
모순<->(p and not p)<->거짓
도대체 이게 뭐가틀림?
모순명제의 진리값이 거짓인건 맞는데, 거짓이라고 무조건 모순명제인 건 아니라서
p and not p -> 거짓
이 맞는 것 같아요
(p and not p)의 값이 거짓이니 거짓과 동치라는거임
1. 진리값은 명제가 아니기 때문에 모순명제와 거짓을 동치라고 볼 수 없다.
2. p and not p라는 모순명제의 진리값이 거짓이기 때문에, 그것의 부정인 무모순명제의 진리값이 참이 되는 것이다.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명제(命題, proposition)란, 참이거나 거짓인, 즉 진릿값을 갖는 것을 말한다.
명제의 정의는 진리값을 가지는것이기 때문에 "거짓" 자체가 명제일수있음
"false"도 명제라고 할수있어?
ChatGPT의 말:
ChatGPT
네, "false"도 명제라고 할 수 있어. 명제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나타낼 수 있는 문장을 말하는데, "false"는 그 자체로 거짓인 명제를 의미해. 다시 말해, 명제는 그 값이 참이든 거짓이든 상관없이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취급돼.
참여하지 말고 지금 도망가세요
시간만 뺏깁니다
헉 넵...ㅠ
내일 금요일(2018.08.24)은 태풍으로 학교 임시휴업일입니다.
등교에 참고해주세요. 참고로 담주 월 7교시(과학)합니다.
비추버튼입니다!
진리값을 갖는 거지, 진리값 그 자체가 명제는 아니니까요
"false"도 명제라고 할수있어?
ChatGPT의 말:
ChatGPT
네, "false"도 명제라고 할 수 있어. 명제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나타낼 수 있는 문장을 말하는데, "false"는 그 자체로 거짓인 명제를 의미해. 다시 말해, 명제는 그 값이 참이든 거짓이든 상관없이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취급돼.
아니요, 진리치는 명제가 아닙니다. 진리치는 특정 명제의 참이나 거짓을 나타내는 값이며, 독립적인 문장이 아니기 때문에 명제의 정의를 충족하지 않습니다. 명제는 참 또는 거짓으로 평가할 수 있는 문장을 의미합니다.
chatgpt는 믿을게 못 됨
명제(命題, proposition)란, 참이거나 거짓인, 즉 진릿값을 갖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진리값을 가진 "거짓", "참"도 명제아님?
거짓은 어떤 진리값을 가지나요? "A는 거짓이다" 라는 문장은 진리값을 가질 수 있지만 그냥 "거짓"이라는 문장은 진리값알 가질 수 없고 애초에 문장도 아닌 것 같습니다.
P&~P가 (p and not p)이고
F가 거짓입니다.
P&~P↔F와 (p and not p)<->거짓은 같은 논증입니다.
(T and F)->F 같은건 뭐임?
저는 그러한 논증은 아직 본 적이 없는데 어디에서 보셨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외국사이트에서요
제가 아는 선에서는 T,F는 명제가 아닌 걸로 알지만 T, F도 명제라고 가정한다 했을 때 T, F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면 명제 T, F에 대한 논증자체가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T는 true고 F는 false죠
'푸르다'라는 서술어는 그자체로는 의미를 가지지 않잖아요. '하늘이 푸르다.'처럼 주어와 결합하여 문장이 되어야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그런 것처럼 'T', 'F'도 'P는 T이다.'처럼 어떠한 명제 P를 주어로 결합해야만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이다.'라는 것 만으로는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T', 'F'는 아무런 의미를 가지지 않는 것 아닌가요?
T는 true의 약자고 TRUE는 말그대로 참이라는 의미라고 생각함
무엇이 참이다 가 아니라, 그냥 "참" 이라는거임
P&~P↔F
이 논증은 참이 맞는 것 같습니다. 이때 위 논증의 의미는 P&~P라는 명제가 거짓이라는 의미입니다. 위 명제의 대우는
~(P&~P)↔T
당연히 위 명제도 참입니다. 이때 위 명제의 의미는 ~(P&~P)라는 명제가 참이라는 뜻입니다. 위 논증은 무모순율과 다를게 없습니다. 무모순율이 성립하면 당연히 성립하는 논증입니다.
다만 위 논증은 '어떠한 공리계에서 P가 참이라고 가정했을 때 공리계가 무모순이라면 P는 참이다'라는 의미는 가지지 않습니다. 위 논증은
~(P&~P)→P
라는 다른 논증이니까요
제논증은 모순<->(p and not p)<->거짓 인데요
~(P&~P)↔T 이게 비모순(무모순)이면 참이고, 참이면 비모순이다 아닌가요
~(P&~P)라는 명제가 참이라는 의미입니다.
T와 동치라면서요
P↔T가 참이라는 것은 두 명제의 진리값이 같다는 의미이고 이때 T는 항상 참이니 P도 항상 참이여야합니다. P가 참이면 위 명제는 참이고요. 따라서 위 명제의 의미는 'P는 참이다'입니다.
~(P&~P)↔T 이게 비모순(무모순)이면 참이고, 참이면 비모순이다 아닌가요
맞습니다
역시 옳은 말은 쿠쿠리
세상의 진리를 모조리 파악하셨네ㄷㄷ
님 틀린 것 같아요
이런글 너무 많이 올리지 마세요... 그러다 정신병 도지심
물어볼 거면 제대로 물어봐라
모순<->(p and not p)<->거짓
냐고 물어보셈
애초에 모순 ↔ 거짓이 안 된다고
모순<->(p and not p)<->거짓 라는 식이 맞냐고 물어보셈
아니 님이 뭔짓을 해도 모순<->(p and not p)<->거짓 라는 식은 참이라니까요
그렇게 물어본 게 저거라고 아오
아니 님이 뭔짓을 해도 모순<->(p and not p)<->거짓 라는 식은 참이라니까요
ㅂㅅ 그렇게 사세요 니가 그렇게 좋아하는 gpt한테 조금만 물어봐도 아닌 걸 알텐데 ㅋㅋ
그럼 나는 안물어봤음?
저 서울대 의대생인데 님말이 타당한 지적이라고 생각해요 !
니 말을 gpt가 제대로 이해한 게 아니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