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과탐이 왜 알아서 변별이 됐었냐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88424
현역숫자도 많았고
4선택이라 기본적으로 원과목은 10만명 깔고갔음. (젤 기피했던 물1이 10만명 정도였음.)
그리고 당시에는 동일원투 +원원 조합이 국룰이어서 누구나 투과목 하나는 응시했었음.
그래서 생2는 7만명, 화2는 6만명, 물2지2도 2만명 근처는 갔었음.
그래서 지금처럼 퍼즐과탐 낼 이유가 없었음...
심지어 연고대 아래부터는 3개만 반영했음.
그래서 보통 원과목 3개만 집중하고 투과목 1개는 그냥 보험용이었음.
그래서 7차 당시에 투과목이 개꿀이었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0시쯤 자고 6시쯤 일어나는 것 같던데 일어나 있는 시간 동안 하는 게 똥글 싸기라 좀 그렇네
-
연세대 수리논술 안씀거 후회될지도 갑자기 연세대가 너무 가고싶어졌다
-
사수 당하는 게 고통스러울까
-
어케 채점함? 그냥 한문제라도 틀리면 큰번호에 틀렸다고 채점.? 아니면 틀린 작은 문제에만 채점?
-
띠용
-
계륵같은 존재.. 안하기엔 돈아깝고 하기엔 다른거 푸는게 낫을거 같기도하고 그냥 빨리 쳐내야지
-
예전 강의보면 드립도치고 약간 사람자체가 즐거운느낌이었는데 요즘 강의들은 우진ai가...
-
아~~~~
-
빠져나가면 그때 이제 호들갑 떠시면 됩니다
-
학교 옮기는게 위기가아니라 이 학교 계속 다니는게 진짜 위기인듯 30일이라도 달려보자
-
아 이게 아니라 종성부용초성이었나?
-
연논 끝남? 0
ㅈㄱㄴ
-
경한말고 존재하나 인문기준
-
아니면 탐구가 수능때만 망할수가 없음
-
설경제갈사람수면 4
잘자여
-
물리 화학만이라도 겨울 방학 전에 미리 예습해야하나요??? 지금 미뤘다가 겨울...
새삼 4선택시절도 아니고 2선택 시절에 2년만에 4과목 수능을 모두 경험해본 내가 뭐하는 놈이지..
심지어 나도 동일원투 원원이네
제 기억에 지2가 나중에는 3만명도 갔던걸로... 그것도 마이너하다면서 선택자들을 신기해했었는데...
+생2 9만명
생2는 아마 화2파이 먹은걸로 기억하고 (물화생화2 -> 화생지생2로 국민과탐 옮겨가는 시점) 그러면서 지1이 늘어서 지2도 같이 늘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솔직히 과탐 범위는 늘리는게 맞다고 생각함
근데 7차처럼 시험범위 많고 퍼즐문제 없이 내는게 정상화가 아닐까 싶어요
탐구 4개를 보는 거면 공부량이 ㄹㅇ 개어마무시할 것 같은데...그때 수능을 대체 어떻게 버티셨나요
대신 문제가 쉬운 거 아님? 지금처럼 퍼즐아니라
대신 컨텐츠라는 개념이 없었음.
4개가 2개보다 나은듯
진짜 문제가 너무 과함
4개때도 쉽진 않았었던거 같아용
투투 goat 노화오지않는 뇌 숭배합니다.
그런데 교육부가 통과로 시험 본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