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은 관성이 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87552
빛시계 아래쪽에서 위로 빛을 쐈는데
왜 우주선의 움직임(오른쪽으로) 벡터가 빛의 벡터에 더해지는거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닉은 꼬기가 아니고 술도 안 마셨는데
-
이건 그냥 포함하고 동치하고 구별을 못 하는 거 같은데 3
당연히 P & ~P가 항상 거짓이라고 모든 거짓인 명제가 모순이 될 수는 없음 모순...
-
Kid 복기북 어떻게 사용하심? 다음날에 복습하는 용도로 다시풀고 해설지 보면서...
-
조건을 박스안에다 점 찍어서 주면 쉬워보일텐데 줄글로 주니까 정보량이 개많은 느낌
-
Make Anime profile Great Again!
-
올해 수능보려고 하는 재수생입니다. 부끄럽지만 다른과목하느라 손놓고 있다가...
-
3번 연속 지게생겼다.
-
ㅌㅈㅇㄹ
-
여캐일러 투척 12
예쁘고 멋진 시라안
-
하기가 싫어요
-
이유는?
-
오늘도 힘찬하루! 내일도 힘찬하루! ㅎㅎㅎ
-
롤하기
-
굿바이 오르비 4
2019년에 현역 되기 직전부터 시작해서 삼수때 밷지도 얻고 군대도 가고 지금까지...
-
비문학 한지문 날리는 허수라 문학 화작에서 무조건 다맞아야되는데 손가락걸기 하면...
ㅔ?
빛의 움직임에 우주선이 오른쪽으로 움직이는게 더해졌잖아요
그게 우주선 안에서 보면 위 아래로 왔다 갔다인데 밖에서 보면 보시는 것 처럼 이동하게 되는 겁니다.
이게 왜 관성이 아니죠? 빛이 처음 빛시계 밑에서 내뿜어질때 그때, 우주선의 움직임이 더해지고 출발점에서 떠나 빛시계 중간을 통과하는 빛은 여전히 우주선의 움직임벡터를 가지고 있는데 이게왜 관성이 아니란겁니까
빛은 모든 방향으로 내뿜어지는데 그중 저 지점에 도달하는 것 하나만을 측정하겠다는 것, 빛의 속도는 방향에 상관없이 항상 c
빛은 기존의 물리법칙들에 적용하여 생각하면 아니되옵니다
빛은 질량이 없는데..?
질량이 없다면 왜 중력에 반응하는건가요?
Rest mass=0이지만 equivalent mass를 정의할 수 있고 그것이 gravitational mass와 일치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빛을 아래에서 위로 쏜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럼 비스듬하게 쐈다는건가요?
넵. 내부 관찰자 입장에서만 +y 방향이고, 외부 관찰자가 관측했을 때는 방출 방향 자체가 다릅니다.
만약 선지가
ㄱ. 외부 관찰자가 측정했을 때 빛 시계에서 빛은 +y 방향으로 방출된다. 하면 틀린 선지에요.
그말은 우주선의 움직임벡터가 더해졌다는 말 아닌가여?
아닙니다. 빛 자체가 비스듬하게 쏴진 것이고, 우주선의 속도 벡터가 더해져서 그렇게 된 게 아닙니다.
그럼 빛시계 위쪽에서 반사하기위해 치밀한 계산을 통해 비스듬하게 쏴서 위쪽 거울에 도달하도록 했다는겁니까?
안에서 +y로 쏘면 자동으로 밖에서는 비스듬하게 되니 계산할 필요가 없죠.
그리고 빛의 정지 질량은 0이지만 말씀대로 관성이 있는 것이 맞습니다. 사실 다시 생각해 보니 작성자님의 관점에서 저 상황을 해석할 수 있긴 한데, 고등학교 배경 지식으로 풀다 보면 좀 상황이 이상해집니다. 그래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속도벡터가 더해진게 아니라 저 방향의 빛만 보겠다는 뜻임
레이저 아닌가요
벡터가 더해지는게 아니라 관성계가 달라서 측정이 다르게 되는거에요
그냥 특상은 이해보단 외우시는게 맘편함
하......... 전 솔직히 이세상에 태어나면 안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