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득권만이 명문대를 안전하게 들어갈 수 있는 세상 만들겠다" 이게 대윤카의 발상이신듯
-
하 오늘 아빠 술 진탕 마시고 오셔서 몇시간째 소리지르시면서 자꾸 한탄하시는데,...
-
저는 지잡대생입니다 61
학교 선생님들과의 갈등으로 고2때 자퇴. 방황하던 그 시기, 정시로 대학을 가겠다...
-
뭔가 그때의 나는 내가 아니였던 것 같은 느낌이 듦.. 내 의식과 의지로 생각하고...
-
텔레그렘 피의자 정보 당국에 제공하기로 약관 바꿔… 2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4/09/...
-
좋은 아침이에요 3
-
강k 국어 7회 등급컷 아시는 분ㅠㅜ
-
얼버기 4
-
2024 고1 9모 Crux Table [N2409] 1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안녕하세요! 0
신입입니당
-
프린트 카페 0
실모 뽑으려고 하는데 실제 모고처럼은 못만들죠? 접어서 넣고 그런건 못하고 그냥...
-
가장 최근에 푼 히카 시즌3,이로운 시즌1,빡모 시즌1 대부분 1~2개 틀리는데...
-
수특수완, 검더텅빨더텅 다풀었는데 이제 뭐하져 인강은 안들음
-
이게 고3때해서 재밋던건지 아니면 실제로 시즌6이 goat시즌이 맞는지 헷갈리네
-
기상 기상! 3
아 잠 온다
내면세계 즉, 자아가 가지고 있는 감정,생각을 인식하는 것이요
그게 심이 말하는 감상임???
넵
아 좌송합니다 혼동이 있었어요
자아가 가지고 있는 내면세계를 인식하는 것은 공감이고요
감상은 문학에서 자아에게 올바르게 공감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타자의 감정을 인식하는 게 왜 공감임?
교과서의 정의에 따라서요
제가 스카라서 그것과 관련된 자료는 보내드릴 수 없는데 공감에 대한 교과서의 서술이 궁금하시다면 쪽지 남겨주세요 집가서 보내드릴게요
공감 연구소에서의 답변은 이러하네요
선생님이 판서하시듯 작품 속 구절의 의미를 통해 자아(화자)의 내면세계를 파악하고, 심상을 그리는 것이 곧 '감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