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르비에는 3
투자 하시는 분들이 얼마나 계시려나.. 참고로 전 주식 채권 코인 다 합니다 ㅎㅎ
-
올해는 누가 이적할까?
-
왜 대댓 합쳐서 5개까지 밖에 못 하나요..
-
언매 6모 95 9모 97 미적 6모 92 9모 96 (2/3+4/3=3이라고...
-
기출 그 이상을 지향하는건 당연한건데 왤케 과하다는 느낌이지? 특히 배기범 s2...
-
맞팔구 4
2명 더 구해요 은테를 가기 위해
-
막상 오답노트 만드려고 하면 ㅈㄴ 시간낭비 같은데 그렇다고 오답노트 안만들면 분명...
-
씨발 할수있다!!가즈아!!!!재수는 없다!!!!
-
6/9평 2고 유지가 관건인 상태 지금 하고 있는 건 평가원 사관 간쓸개 딱...
-
제 생각) 구하는 것이 정사영의 넓이니, AMN의 넓이와 PAM과의 이면각의...
-
너무 맛없다 진짜
내면세계 즉, 자아가 가지고 있는 감정,생각을 인식하는 것이요
그게 심이 말하는 감상임???
넵
아 좌송합니다 혼동이 있었어요
자아가 가지고 있는 내면세계를 인식하는 것은 공감이고요
감상은 문학에서 자아에게 올바르게 공감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타자의 감정을 인식하는 게 왜 공감임?
교과서의 정의에 따라서요
제가 스카라서 그것과 관련된 자료는 보내드릴 수 없는데 공감에 대한 교과서의 서술이 궁금하시다면 쪽지 남겨주세요 집가서 보내드릴게요
공감 연구소에서의 답변은 이러하네요
선생님이 판서하시듯 작품 속 구절의 의미를 통해 자아(화자)의 내면세계를 파악하고, 심상을 그리는 것이 곧 '감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