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에서 ㅐ, ㅔ, ㅚ 등이 이중모음인 건 어케 안 걸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69754
훈민정음의 서술이 그렇게 자세한 것도 아닌데 어째서 국어학자들은 ㅐ, ㅔ, ㅚ 등을 j계 하향 이중모음으로 보는 것일까?
우선 ‘ㅐ'나 ‘ㅔ' 등이 중세 국어 당시에 단모음이었다면 훈민정음에서는 그 음가를 밝히지 않고 ‘ㅣ 상합자'의 범주에서 처리했다는 점, 자형상 두 모음을 합자한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또 “孔子ᅵ”와 같은 표기도 문제다. 중세 국어의 주격조사는 ‘ㅣ'였는데 ‘공자가'를 중세국어 표기법으로 쓰면 ‘공ᄌᆡ’가 된다. ‘孔子(공ᄌᆞ)ᅵ’와 ‘공ᄌᆡ’의 발음이 같을 것이므로 ‘ᄌᆡ’의 ‘ㆎ’을 단모음으로 처리할 수 없다.
그리고 주격조사나 서술격조사 ‘ㅣ'가 쓰일 때 모음 ㅣ 뒤에서는 ‘다리(다리+ㅣ)', ‘다리라(다리+ㅣ라)'처럼 표면상 실현되지 않는데 ‘ㅣ 상합자'들과의 결합에도 ‘불휘라(불휘+ㅣ라)’와 같이 동일한 양상이 보인다. 이는 ‘ㅣ 상합자'가 ‘ㅣ'로 끝나는 모음이기 때문이다.
또한 ‘보야ᄒᆞ로’와 ‘뵈아ᄒᆞ로’가 혼동되는 것은 ‘보야'와 ‘뵈아'가 모두 /pwoya/여야 가능한 현상이다. 즉 반모음 j가 ‘아'와 함께 표기될 때는 ‘보야'로, ‘보'와 함께 표기될 때는 ‘뵈아'로 표기된 것이. 따라서 ‘ㆎ, ㅢ, ㅚ, ㅐ, ㅟ, ㅔ’는 글자 자형 그대로 ‘ᆞ, ㅡ, ㅗ, ㅏ, ㅜ, ㅓ'와 ‘ㅣ(j)’가 결합한 이중모음이었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사실 이렇게 글자의 형태대로 발음됐기 때문에 ㅅ계 합용병서도 크게 고민하지 않고 당연히 의도는 자음군이었다고 보기도 한다(다만 수특에선 경음으로 봤고 학교문법도 주로 이 의견을 따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냥 진짜스나이퍼로 앞에있는사람 다 죽이면 댄단거임..ㅇㅇㅇ
-
난 장난이였어 이정도로 공포를 바란건 아니였어..
-
진짜인가요?
-
메인 보니까 7
진짜 미코토가 1부터 10까지 다 강의 해주면 ㄹㅇ 하루종일 공부할 자신 있음
-
있나여?
-
더 떨구면 안 되는데
-
사문할까물1할까지2할까사문할까물1할까지2할까사문할까물1할까지2할까사문할까물1할까지2할...
-
언=화 라면서..
-
등급컷 질문 8
오늘 과탐은 원점수 컷까지 알수 있다던데 국어 수학은 대략적으로 알수 있는건가요??...
-
얼음타입이 아닌 포켓몬이 절대영도를 사용하면 명중률이 20퍼가 된답니다! +명중률...
-
ㄸㄸㅇ 좀 치고오라고
-
사형당했다 ㅅㅂ
-
미적 88 81 72 기하 92 84 75 확통 96 88 79
-
그냥 6월까지는 그냥 개념 기출 연계 열심히 하셈 ㅋㅋ 모의고사 성적 크게...
-
생명 39 2
3컷임?
-
뭘보고있는더임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