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에서 ㅐ, ㅔ, ㅚ 등이 이중모음인 건 어케 안 걸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69754
훈민정음의 서술이 그렇게 자세한 것도 아닌데 어째서 국어학자들은 ㅐ, ㅔ, ㅚ 등을 j계 하향 이중모음으로 보는 것일까?
우선 ‘ㅐ'나 ‘ㅔ' 등이 중세 국어 당시에 단모음이었다면 훈민정음에서는 그 음가를 밝히지 않고 ‘ㅣ 상합자'의 범주에서 처리했다는 점, 자형상 두 모음을 합자한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또 “孔子ᅵ”와 같은 표기도 문제다. 중세 국어의 주격조사는 ‘ㅣ'였는데 ‘공자가'를 중세국어 표기법으로 쓰면 ‘공ᄌᆡ’가 된다. ‘孔子(공ᄌᆞ)ᅵ’와 ‘공ᄌᆡ’의 발음이 같을 것이므로 ‘ᄌᆡ’의 ‘ㆎ’을 단모음으로 처리할 수 없다.
그리고 주격조사나 서술격조사 ‘ㅣ'가 쓰일 때 모음 ㅣ 뒤에서는 ‘다리(다리+ㅣ)', ‘다리라(다리+ㅣ라)'처럼 표면상 실현되지 않는데 ‘ㅣ 상합자'들과의 결합에도 ‘불휘라(불휘+ㅣ라)’와 같이 동일한 양상이 보인다. 이는 ‘ㅣ 상합자'가 ‘ㅣ'로 끝나는 모음이기 때문이다.
또한 ‘보야ᄒᆞ로’와 ‘뵈아ᄒᆞ로’가 혼동되는 것은 ‘보야'와 ‘뵈아'가 모두 /pwoya/여야 가능한 현상이다. 즉 반모음 j가 ‘아'와 함께 표기될 때는 ‘보야'로, ‘보'와 함께 표기될 때는 ‘뵈아'로 표기된 것이. 따라서 ‘ㆎ, ㅢ, ㅚ, ㅐ, ㅟ, ㅔ’는 글자 자형 그대로 ‘ᆞ, ㅡ, ㅗ, ㅏ, ㅜ, ㅓ'와 ‘ㅣ(j)’가 결합한 이중모음이었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사실 이렇게 글자의 형태대로 발음됐기 때문에 ㅅ계 합용병서도 크게 고민하지 않고 당연히 의도는 자음군이었다고 보기도 한다(다만 수특에선 경음으로 봤고 학교문법도 주로 이 의견을 따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 공리는 참이라는 증명이 없다 2. 따라서 귀류법 증명도 없다 3. 따라서...
-
CPA 수석 공부법 14
고승덕 공부법 이게 가능했던거냐
-
국어 백97이면 10
23수능때 성불했음
-
그런의미에서 내일 아침메뉴 추천좀
-
???
-
매질이 필요함
-
그냥 꼬우면 그말 안 듣고 말면 되는거 아닌가..
-
수학 도형 0
수학 미적하는데 도형문제를 너무 못해서 하루 날잡고 50문제 정도 풀려하는데 문제집 추천해주세여
-
수학 n제 0
빅포텐 시즌2가 어렵나요 문해전 시즌1이 어렵나요??
-
질문 해줘 41
공부 시러 오눌 저녁은 삼계탕 (근데 나는 삼계탕 별로 안 좋아함)
-
ㄱㅅㅎㄴㄷ ㄱㅅㅎㄴㄷ..
-
오랜만에 질문받아요 17
슬슬 날씨가 수능이 다가옴을 말해주네요...
-
일차원 상자(길이 a)에 들어있는 자유입자가 있다. 10
다음입자의 파동함수를 구하고, 총 에너지의 기댓값, x=a/2에서 입자를 발견할...
-
예를들어 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0 이다. 이런 조건이 있으면...
-
실모벅벅 하고싶은데 그러지 마래 우기분 문학 언제 개강해!!!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