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존산소량이 심해에서 더 적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19078
기체 용해도가 온도에 반비례하니까 표층보다 심해에서 더 많은거 아닝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변호사 만나면 우선 적극적으로 무죄로 대시하라던데 애프터까지 갈 수 있겠져?
-
난이도가 너무 물이라 에바같다고 생갇
-
트페 잘하려면 걍 롤을 잘해야 하는듯
-
소화물 분류부터 시작해 보셈 여기서 소화물은 화장품 앰풀 크기가 아니라, 휴대폰...
-
4규 구독이 있네요 n제 주고 질답 시스템인 거 같은데데써보신 분 계신가요? 아니...
-
이상한 사람 두명끼리 싸울때 공부하는 나 ㅇㅇ
-
매번 하나씩 틀리는데... 10번 넘 어려움
-
친구꺼 한회차만 쓱 봤는데 좀 이상하게 꼬아둔 느낌이 강하던데
-
맞팔9 13
오랜만에 9
-
정답 찍고 채점 하고 오답 분석 따로 함??
-
[생명과학1 유전] 감수분열 문제 중 유전자 상대량의 합 0
안녕하세요 생달입니다. 오늘은 감수분열 DNA상대량 문제 중 서로 다른 유전자...
-
얼마나 거지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듣는지 보는거 같음
-
님들 10
231122를 기울기로 해석하는게 어렵나요 230622를 유리화로 해석하는게 어렵나요
산소가 공급이 안 되는데 심해 생물들이 다 먹어치워서
표층보다는 적지만
아래로 내려갈수록 증가 하는 구간있어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에 반비례 하는것은 맞지만 온도에만 반비례하는것이 아닙니다
온도와 기체분압 물질의극성등등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은 문제에서는 용해도를 물어볼때 수온을 제외한 다른것은 고려하지 않는다 라는 말이 붙어있어있고 지구과학 문제를 풀때는 온도가 낮으면 용해도가 높으니깐 용존산소량이 많겠지?라는 생각은 안됩니다
항상 자료를 기준으로 생각하셔야해요
표층에서 산소는 표면에서 공급, 광합성 때문에 용존산소량이 높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용존산소량이 감소합니다
계속 감소하다가 고위도의 해수 침강으로인해 용존산소량이 증가하는 구간이있지만 표층보다는 용존산소량이 낮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