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존산소량이 심해에서 더 적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19078
기체 용해도가 온도에 반비례하니까 표층보다 심해에서 더 많은거 아닝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살기 싫어짐 성공한 실험체가 되어야지..
-
절대 허락 안해주실텐데 욕나오네요 갑자기
-
ㅇㅇ
-
졸라피곤해 0
자고싶어
-
6월은 50 9월은 45인데 사설은 맨날 30점대 심하면 20점대임 (더프 퀄모 등등) 왜 이럴까
-
그건 아니긴 한데 너무 덥다
-
>>진지하게 현역 최저 뭐로 맞출지 고민 해주실분...ㅠㅠ간절함<< 10
안녕하세요 긴말 안하고 제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겠습니다...
-
버근가 11-15 정답이 12111 이라 그런가 흠
-
근데 책이 고수로 만들어주진 않더라구요
-
휴
-
질문 받음 6
클났음 그불구 듣고 총정리 과제도 해야댐 알바갈걸 생각 안하고 계획짠 자의 최후..
-
(제가 직접 질문한건 아니고 공개된 다른 QnA입니다) 혹시 다른 커리 ㄹㅇ 병행...
-
건강챙기자
-
생명 16모고 1회독땐 25분씩 걸리고 엄청 틀렸는데 시간 지나서 다시보니까...
-
만약에 시대인재 재종 안 하고 단과로 들으면 써킷 브릿지같은 컨텐츠 받을 수 있나?...
산소가 공급이 안 되는데 심해 생물들이 다 먹어치워서
표층보다는 적지만
아래로 내려갈수록 증가 하는 구간있어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에 반비례 하는것은 맞지만 온도에만 반비례하는것이 아닙니다
온도와 기체분압 물질의극성등등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은 문제에서는 용해도를 물어볼때 수온을 제외한 다른것은 고려하지 않는다 라는 말이 붙어있어있고 지구과학 문제를 풀때는 온도가 낮으면 용해도가 높으니깐 용존산소량이 많겠지?라는 생각은 안됩니다
항상 자료를 기준으로 생각하셔야해요
표층에서 산소는 표면에서 공급, 광합성 때문에 용존산소량이 높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용존산소량이 감소합니다
계속 감소하다가 고위도의 해수 침강으로인해 용존산소량이 증가하는 구간이있지만 표층보다는 용존산소량이 낮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