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모 블록체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04679

‘노드 수에 제한을 두니까 합의 알고리즘의 속도가 빠르다’라고 읽을 수 있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노드 수에 제한을 두고, 일반적으로 공개형에 비해 합의 알고리즘의 속도가 빠르다.
콤마로 끊겼으면 별개의 정보로 받아들여야하는거 아닌가요..?
(제 사고가 맞다고 주장하는게 아니라 바보라서 이해를 못하는겁니다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ㅈ 7
ㅋㅋ
-
광도 계산,외계행성 탐사 이게 거의 킬러로 나오지 않음? 9모 시간 부족했었는데...
-
"모 오니쨩 바카바카 다이 키라이 시네" 위 대사로 알 수 있는 여동생의 마음은?
-
난 INTJ 존나 알수없는 거리감 느껴짐
-
일본으로 갔고 물론 시간은 많이걸렸지만 되게 색달랐어요 밤에 나와서 달이랑 바다도...
-
결국 이또한 실모벅벅해야 겠지요...
-
얘 너무 이쁨 14
얘 땜에 붕스마려운데 꾹 참는중.. 더 이상 모바일게임은 안돼..
-
어이 거기 너 6
왜 안자는거야
-
악명높은 이감 제대로 데여보겠음
-
ㅈㄱㄴ
-
오늘 토할수도 있어요!
-
국어 파이널 누구들으면 될지 골라줌 (강민철/김동욱/김승리) 15
민철쌤이 좋다 -> 우기분 동욱쌤이 좋다 -> 장클래스 승리쌤이 좋다 -> 아수라
지금 시험지 없어서 가물가믈한데 제 기억으론 노드=컴퓨터 였잖아요 그.. 블록체인 체결하기 위해서는 노드의 만장일치가 필요한데 만장일치로 합의 받을 컴퓨터 갯수가 제한이 생겨서 (그냥 10개만 만장일치되면 바로 블록체인 만들어짐) 반면 개방형은 먗십 몇백개 승인 받아야하고,,, 뭐 이런식으로 풀었던거 같아요
노드 수의 제한이 인과 관계에 해당하니까 끊어읽으면 안될(?)거는 아닌데 굳이 끊어 읽을 필요는 없는거 같아요
아하.. 형식적으로 접근하는걸 지양해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노드의 승인을 받아서 블록체인 형성=>노드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면?=>승인을 더 적게 받고도 블록체인 생성 가능=>승인과정에 걸리는 시간 감소 저는 일케 해석하긴 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저는 노드 수가 많을수록 승인과정을 여러번 거쳐야되서 속도가 느려지는구나 라고 납득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