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모 블록체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04679

‘노드 수에 제한을 두니까 합의 알고리즘의 속도가 빠르다’라고 읽을 수 있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노드 수에 제한을 두고, 일반적으로 공개형에 비해 합의 알고리즘의 속도가 빠르다.
콤마로 끊겼으면 별개의 정보로 받아들여야하는거 아닌가요..?
(제 사고가 맞다고 주장하는게 아니라 바보라서 이해를 못하는겁니다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떤종류의 고민이든 환영입니다 질문도받아요
-
명곡
-
총정리 Day3 하는데 어려운데 정상임?
-
이런…… 0
나도 모르는 사이 턱 쪽에 땀 많이 있었나봄 지금 만지니까 트러블 생겼네 개따갑네
-
수학 실모 풀건데 추천해주세요
-
오류투성이라 ㅈㅅ합니다
-
챠라라 12
약간만 더 똑똑했음 좋았을텐데 어설프게, 애매하게 재능이 있어 괴롭네
-
수시충들 망해라 11
울학교(ㅈ반고) 메디컬 지망 수시충들 최저탈 기원 ㅋㅋㅋ 서울대 및 메디컬 쓰는...
-
ㅈㄱㄴ 윤즈 궁금한데 미니에 있으면 한번 사보고 싶어서..
-
ㅈㄱㄴ
-
뭐가 더 어려움
-
아까 1809 고전문학 지문풀다가 lp 에서 대가리 깨질뻔했는데 그런류의...
-
주요 모형은 열린우주,평탄우주,닫힌우주 같은데
-
(분필을 던지며) 아아아아악! 써요오오!
지금 시험지 없어서 가물가믈한데 제 기억으론 노드=컴퓨터 였잖아요 그.. 블록체인 체결하기 위해서는 노드의 만장일치가 필요한데 만장일치로 합의 받을 컴퓨터 갯수가 제한이 생겨서 (그냥 10개만 만장일치되면 바로 블록체인 만들어짐) 반면 개방형은 먗십 몇백개 승인 받아야하고,,, 뭐 이런식으로 풀었던거 같아요
노드 수의 제한이 인과 관계에 해당하니까 끊어읽으면 안될(?)거는 아닌데 굳이 끊어 읽을 필요는 없는거 같아요
아하.. 형식적으로 접근하는걸 지양해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노드의 승인을 받아서 블록체인 형성=>노드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면?=>승인을 더 적게 받고도 블록체인 생성 가능=>승인과정에 걸리는 시간 감소 저는 일케 해석하긴 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저는 노드 수가 많을수록 승인과정을 여러번 거쳐야되서 속도가 느려지는구나 라고 납득했어요